리눅스 한글화일명 문제
윈도우에서뿐만 아니라 리눅스 nautilus에서 동일한 형태로 깨져서 보이는데...
윈도우에서 EUC-KR, 리눅스에서 UTF-8의 인코딩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디렉토리에 들어가거나 음악파일을 실행시켰을 때 문제는 없는 것으로 봐서
파일에 문제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단 제가 게시글을 보면서 수정을 시도 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mount -t vfat -o codepage=949,iocharset=utf-8 /dev/sdb5 /data2
mount -t vfat -o codepage=949,iocharset=euc-kr /dev/sdb5 /data1
로 인코딩을 고려 마운트를 다시 해봤씁니다.
새롭게 한글화일 입력한 것은 제대로 나오나, 아까 깨졌던 부분은 역시 깨져서 나옵니다.
ls --show-control-chars를 해봐도 마찬가지 이고요.
다음은 convmv를 이용
root@kit:/data1/music# convmv -f EUC-KR -t UTF-8 *
Starting a dry run without changes...
Skipping, already UTF-8: ./íì¡
Skipping, already UTF-8: ./íì¡ëª¨ì
개별적으로 화일이름을 바꿔주려고 해봤는데...너무 많아서...엄두가 안나네요. 인코딩 변환도 euc-kr에서 utf-8도 아닌것 같고
의심가는 부분은
1) 음악, 미디어 파일과 디렉토리를 정리를 위해 다른 곳에 카피를 하려고 하는 데 제가 쓰는 것으로 permission이 없다고 나오길래
sudo nautilus를 해서 root로 디렉토리와 파일을 카피 하였었습니다 그렇게 한 부분이 모두 이상해진 것 같은데...
sudo nautilus를 해서 볼려고 해도....
root@kit:/data1/music# nautilus
Initializing nautilus-share extension
Initializing nautilus-open-terminal extension
seahorse nautilus module initialized
Segmentation fault
못보던 에러가 뜨네요.
---------------------------------------------------------------------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지?
1) 저 글자 깨져서 나오는 것이 어떠한 코딩에 기초한 것인지 알 방법이 없을까요?
íì¡
- 이 코딩에 기초하여 convmv를 실행하면 될까요?
2) 아니면 이러한 현상을 경험한 분이 계시면 이것을 제대로 수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3) 앞서 sudo Nautilus 에서는 위와 같은 에러가 나고,
nautilus를 하면 에러가 나지 않고, 파일이 보이는 데...이것은 왜 발생하는 것인지....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좋은시간
키트
인용: 1) 저 글자
무식한 방법이지만 putty 같은 클라이언트로 접속한 후
문자셋을 계속 바꾸면서 제대로 글자가 보이는지 확인해보는건 어떨까요?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윈도에서도 깨졌으면
윈도에서도 깨졌으면 이미 복구가 안될 상황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네요.
CP949 인데 UTF-8 -> CP949 가 되었다거나,
UTF-8 인데 CP949 -> UTF-8 이 되었다거나 하면,
코드를 온전히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깨집니다.
파일을 읽으실 수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네요.
emerge money
http://wiki.kldp.org/wiki.php/GentooInstallSimple - 명령어도 몇개 안되요~
http://xenosi.de/
https://xenosi.d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