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x의 외국의 사례가 궁금해서요

suh1978의 이미지

웹브라우저가 ie 독점에서 이제 불여우, 퀀쿼러, 구글의 크롬까지 있는 상황인데요.
그중에 크롬은 한국시장을 위해 activex 를 지원할 예정이라는 기사까지도 봐왔습니다

전 웹개발자는 아니지만 종종 activex 기반 프로그램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지금 우리나라의 웹을 보면 난무한 activex로 인해 윈도우가 아닌 os는 물론이고,
윈도우에서도 ie가 아닌 브라우저는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된 웹서핑이 불가능한 곳들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물론 불여우에서의 ie탭이나, 리눅스와 같은 os에서는 와인 등일 이용해서
일부 사용가능한 방법도 있고, 이런 부분에 대해 모르는 분도 없을것입니다

위에서도 밝혔지만 저는 app 개발이 주업무이긴 합니다만, 웹상에서 activex는 정말
편할면서도 강력(?)하다는 생각은 하는데요 그렇다보니 지금 문제가 되고있기는 한데
이런 문제가 우리나라만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 다른나라의 경우에서도 개발자 입장에서는
참 편할거 같아서 우리나라만큼은 아닐지는 몰라도 꽤 많이 사용하고 있을거라고 생각은되는데
외국의 경우는 어떨지, 혹시 우리나라만큼 인터넷보급이 되지 않아서 규모가 작은편인지..

외국은 어떨까요.
새로운 버전의 ie에서는 activex를 제외한다고 했다가 번복하기도 하고, 구글웹브라우저인 크롬에서는
일부 사이트들의 activex를 지원하겠다는 말고 있고, 불여우에서는 예전에 activex를 지원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가 없어진 것도 있는데, 우리나라만큼 심각한 경우가 있나요?, 아니면 정말 우리나라만
이렇게 심각한 것인가요?

brucewang의 이미지

글쎄요...

저의 짧은 인맥으로는 우리나라의 Active-X 사용률이 높은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현재는 일본 3년 째 거주중이고 (모임 참석 게시물에 아무런 반응 안해서 죄송합니다.)
2년동안 캐나다/인도/세르비아 사람들과 일 했을때는

인도 : 인도는 우리나라보다 더 MS 종속적입니다. MS의 지원이 그동안 많았구요. 그래서 MS쪽 플랫폼에서만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어떤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는데 사용할 만한 것이 있다 (ActiveX), 그럼 그걸 사용하면 되는게 아니냐... 라고 생각하는것 같더군요. 그래도 사이트별로 비슷비슷한 목적 (로긴 정도?)의 수많은 ActiveX를 설치해줘야 하는가... 글쎄요... 몇몇 사이트들을 봤는데 (인도내/ 인도outsourcing업체에서 만든 사이트) 그런것은 못 본듯.

세르비아 : 미국의 공격으로 모든 것을 잃은 그사람들에게는 미국은 적 이지만, Windows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들 말로는 유럽에서는 C/C++대신 거의 대부분이 Delphi를쓴다고 하는데요. 전쟁때문에 외부접촉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고립된 상황에서 시스템을 밑바닥까지 훓어 버리는게 유일한 낙이라서 어셈블러도 사용자도 많고, 요즘엔 Java사용자도 많습니다. 어쨌든 그중 얘기를 들어보면 자기는 Flash같은것이 들어간 홈페이지를 지독히 싫어한다더군요. 유럽에는 그런거 잘 사용안한다고. 반짝반짝하는게 유치하다고 합니다. JavaScript만으로 내가 얘기하는걸 다 만들어 줄 수 있다구. 정 안되는건 application을 배포하면 되는거 아니냐고..

캐나다 : 제가 아는 캐나다/미국인은 잠시 CTO로 있던 사람인데, 그사람의 취향이나 직접 이런 주제에 대해 뭔가를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 다만 그사람은 Java/SVG 의 신봉자입니다. 전에 캐나다쪽에 구직을 해보면서 몇 사이트를 가 봤는데 Flash이외에는 ActiveX를 본 적이 없던 것 같네요.. 그래봤자 10여사이트 일 뿐이지만..

일본 : 살면서 일본내 웹 사용은 얼마 못해봤지만, 온라인쇼핑몰, 포털, 기타 UGC사이트 등에서 플래시를 제외한 ActiveX를 사용한 곳은 기억이 안나네요. 게다가 일본에서는 휴대전화를 통한 웹사용이 더 절대적으로 많으니까요..

기타...

일본에서 첫 2년동안 있던 회사에서 채용면접을 진행해 보면서 MS쪽 담당을 뽑을때는 ActiveX 관련 질문도 많이 했었습니다. 그 반대로 구직활동을 하면서도 내부 ,tier에서는 ActiveX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업체들도 많았구요... (물론 내부에서 사용하는것과 직접 최종사용자와의 Web interface에서 ,ActiveX를 사용하는 경우의 차이는 큽니다만)

개인적 이유와 회사 출장을 이유로 Comdex show에 1995년과 2000년 경?에 가 봤지만, 그때는 제 스스로 웹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 잘 관찰하지 못한것 같지만, MS관련 업체에서 웹에서 Office연동하는 것들도 많았던 것 같은.. 이경우는 ActiveX를 써야만 했겠죠.

제가 자주 가는 외국사이트들에서도 Flash를 제외한 ActiveX를 사용하는 곳은 별로 없는 듯...

근데요,

너무 남발해서 사용하는 것이 문제긴 하지만, 초기에 우리나라 개발자들께서 ActiveX를 사용하신데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이건 뭐 여기저기서 너무도 많이 이야기가 나왔겠지만... 고객의 요구를 어떻게든 들어주려면, 다른 대안 기술보다 빠르거나 이쁘게해서 spec싸움에서 이기려면, 기타 등등의 이유로 그 초기 당시에는 ActiveX가 최선의 선택이었다는거죠.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이 있는데, 사용하는데에 뭐 문제가 있었을까요. 아니면 일부 어떤 분들처럼 그 개발자들을 싸잡아 비난해야만 하는 걸까요...

하긴 너무 한쪽으로 파고 든 것 때문에 자기가 사용한 기술이 자기는 물론 전체의 발목을 잡게 만들었지만요... 그래도 파고드는건 개발자들의 특성이고 당연히 그래야 하는것도 아닐까요...

초기 이후 여러 다른 대안기술들이 나왔을때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좀더 큰 안목을 가지지 못한것이 아쉽지만요.

요즘의 R.I.A 양대산맥인 Flex/AIR와 SilverLight도 사실은 현재의 web표준만으로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만족스럽게 해줄 수 없으니까 브라우저와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것 아닙니까. 이상하게 들리실지도 모르겠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http/xml/JavaScript등에 현재의 RIA에서 지원해 주는것들에 대한 것들도 포함을 시켜줘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좀더 강력하게 프로그램 가능한 웹(View와 로컬억세스쪽)...

크롬이 ActiveX를 어느정도 묵인해 주면서, 자연스럽게 저 방향으로 사람들의 중론을 끌어내 줄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기대도 갖고 있습니다. 혹시 구글이 자신들의 브라우저에 이런 기능들을 자체 내장해 주면서 표준을 추진하겠다고 드라이브를 하면 만에 하나라도 먹혀들지 않을까..

아... 이거 내가 뭔 내용을 쓴건지... 죄송합니다... (도망가야지)

-------------------------------------------------
$yes 4 8 15 16 23 42

-------------------------------------------------
$yes 4 8 15 16 23 42

feanor의 이미지

Quote:
이상하게 들리실지도 모르겠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http/xml/JavaScript등에 현재의 RIA에서 지원해 주는것들에 대한 것들도 포함을 시켜줘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좀더 강력하게 프로그램 가능한 웹(View와 로컬억세스쪽)...

이게 Google Gears에요.

brucewang의 이미지

죄송합니다 이번기회에 Google Gears에 대해서 배워보고 싶어서요.
사용해 본적도 한번도 없어서...

Gear가 현재의 http/xml/JavaScript등에 뭔가 기능을 추가한 것은 아닐텐데, 기술의 조합으로 로컬상에서 web application을 사용할 수 있도록한다.. 는 것 같던데요.

Local access의 경우, 자기 머신에 있는 (상당수의 디렉토리 접근) 파일들에 read/wirte도 가능 한가요?

View의 경우 고난도의 Graphical Effect/multimedia 코딩이 가능한가요?

관심이 가네요..

-------------------------------------------------
$yes 4 8 15 16 23 42

-------------------------------------------------
$yes 4 8 15 16 23 42

suh1978의 이미지


정말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으세요.
혹시 업무특성상 여러나라를 다니시는 건지~~ ^^

중소기업의 평범한 개발자로서 우리나라의 activex 관련 문제(?)가 외국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궁금했었는데, 자세하고 긴 내용을 잘 정리해주시네요 ㄳ~~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klara의 이미지

개발자 입장은 아니고 유저입장인데요...brucewang님 말씀대로, 일본에서 살면서 나름 인터넷으로 물건도 많이 사고 하는 편인데, 액티브X로 결제하는곳은 단 한군데도 없었습니다.
액티브X가 문제되었던 것은 주로 웹상에서 동영상 틀어주는 부분이었습니다.
후자야 뭐 안보면 그만이지만 전자는 안사면 그만 이라고 할수는 없는 부분이지요.

정태영의 이미지

요새는 미디어 플레이어 오브젝트를 사용하기 보단 플래쉬를 사용하는 쪽으로 가고 있죠. flv9 이 제대로 구현되어야 사용가능하다고는 하지만,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할 때보다는 훨씬 지원폭이 넓어질테니...

그리고 activeX 로 가능한 것은 ff 의 plugin 으로도 가능합니다. 다만 지원해주질 않는거죠.

http://developer.mozilla.org/en/Gecko_Plugin_API_Reference/Plug-in_Basics#How_Plug-ins_Are_Used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