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ating point에 관한 질문..
글쓴이: redpants / 작성시간: 월, 2008/08/11 - 1:09오후
안녕하세요.
요즘 부동소수점에 관한 공부를 하고 있는데 궁금한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부동소수점의 표현은
S | E | M 으로 표현하고
(-1)^S * (1.)M * 2^(E-127) 로 전개할수 있는데,
여기서 S는 1비트, M은 23비트, E는 8비트라고 배웠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극단적인 상황인데요.
부동소수점을 곱셈하면
1.M(23비트) X 1.M(23비트) = 1.N(47비트)가됩니다.
이경우 N = 1100111001100101100111000111010101110110001101(47비트) 이면
이거는 부동 소수점으로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하나요?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Forums:
고수는 아니지만....
고수님들께 부탁해서...
적을까 말까 하다가...~~~ 제가 고수가 아니라서....ㅋㅋ
어설프게나마 아는 것이라서..도움이 될까 해서 적습니다.
floating point에는 아래의 경우가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늘리기도 줄이기도 합니다.
half precision – single precision – double precision – quadruple precision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en.wikipedia.org/wiki/Single_precision
님께서 하신것은 single precision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결론은 라운딩을 해서 자릅니다.ㅡ.ㅡ;
참고로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fixed point를 사용하곤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