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표현식->NFA, NFA->DFA, 최소상태 DFA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고 싶네요..
부탁드립니다.
책을 보셔야 할듯합니다. 글로 남겨도 이해하시기 힘들것같고 구글링 잘하시면 좋은 사이트 많습니다.
^^
그리고,
보다는
오토마타식->NFA, NFA->DFA, 최소상태 DFA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고 싶네요..
가 더 정확할듯(?)
Hello World.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이 올바르고 정확한 표현입니다만, 대체 오토마타식(?)이라는 건 뭘 말씀하시는 건가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DFA, NFA 의 A가 오토마타입니다. 오토마타를 표현하는 방식중 하나가 RE 이고요. ^^;
우리말로 옮기면
정규화 표현식 -> 결정 무한 오토마타 -> 결정 무한 오토마타 보다는
오토마타 -> 결정 무한 오토마타 -> 비결정 무한 오토마타 인거죠.
단순한 말장난인지 모르겠습니다. ^^;
a를 오토마타라 해석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어느 원서를 보더라도 a는 accepter인데요...
책을 봐도 정규표현식을 NFA로 바꿔라라는 말은 있어도 오토마타식이라는 용어는 단 한번도 사용한 적도 본 적도 없습니다. 본인이 책을 다시 읽으셔야 할듯.
제가 지금 배우고 있는 내용이네요. 구글링도 좋고 책을 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보통 컴파일러 책 스캐닝 부분에서 저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니 한번 책도 보시길 바래요
Kenneth C. Louden 컴파일러 책이 좋습니다.
SIGPL 멤버인 교수님들이 본인들께서 직접(?) 번역하셨다고 머리말에도 써있듯이 정말 잘된 번역서중 으뜸중 하나입니다.
ps. Kenneth C. Louden 교수님 프로그래밍언어 책도 강추!!
오토마타는 여러 학문의 기초가 되는데 특히 컴파일러의 기초가 되지요
여담입니다만
제가 학부시절에 일명 3M 교수님께 오토마타 수업을 들었습니다.
매 수업시간마다 과제를 주셨고 그 과제를 하면서 실력이 늘어가는..
L-system 이라고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식물을 그리는 것도 했었구요.
여하튼 정말 그분야의 최고이신 교수님이셨는데
몇년전에 정년 퇴임하셨는데 지금은 무얼하고 계신지 참 궁금하네요
학부때 그분께 수업을 듣던때가 그립네요
그래서 몇자 끄적여 봤습니다 ^^;;
==================================== BornAgain !! Email: jskim98@gmail.com ====================================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너무 긴내용인지라..
책을 보셔야 할듯합니다. 글로 남겨도 이해하시기 힘들것같고 구글링 잘하시면 좋은 사이트 많습니다.
^^
그리고,
정규표현식->NFA, NFA->DFA, 최소상태 DFA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고 싶네요..
보다는
오토마타식->NFA, NFA->DFA, 최소상태 DFA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고 싶네요..
가 더 정확할듯(?)
Hello World.
정규표현식(regular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이 올바르고 정확한 표현입니다만, 대체 오토마타식(?)이라는 건 뭘 말씀하시는 건가요?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오토마타식은 오타입니다. ^^;
DFA, NFA 의 A가 오토마타입니다. 오토마타를 표현하는 방식중 하나가 RE 이고요. ^^;
우리말로 옮기면
정규화 표현식 -> 결정 무한 오토마타 -> 결정 무한 오토마타 보다는
오토마타 -> 결정 무한 오토마타 -> 비결정 무한 오토마타 인거죠.
단순한 말장난인지 모르겠습니다. ^^;
Hello World.
원서에서는 어딜 봐도 a가 오토마타란 소리는...
a를 오토마타라 해석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어느 원서를 보더라도 a는 accepter인데요...
오토마타식이라는 용어는 처음들었는데요...
책을 봐도 정규표현식을 NFA로 바꿔라라는 말은 있어도 오토마타식이라는 용어는 단 한번도 사용한 적도 본 적도 없습니다. 본인이 책을 다시 읽으셔야 할듯.
제가 지금 배우고
제가 지금 배우고 있는 내용이네요. 구글링도 좋고 책을 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보통 컴파일러 책 스캐닝 부분에서 저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니 한번 책도 보시길 바래요
Kenneth C. Louden 교수님 책이 좋습니다.
Kenneth C. Louden 컴파일러 책이 좋습니다.
SIGPL 멤버인 교수님들이 본인들께서 직접(?) 번역하셨다고 머리말에도 써있듯이 정말 잘된 번역서중 으뜸중 하나입니다.
ps. Kenneth C. Louden 교수님 프로그래밍언어 책도 강추!!
Hello World.
오토마타는 여러
오토마타는 여러 학문의 기초가 되는데 특히 컴파일러의 기초가 되지요
여담입니다만
제가 학부시절에 일명 3M 교수님께 오토마타 수업을 들었습니다.
매 수업시간마다 과제를 주셨고 그 과제를 하면서 실력이 늘어가는..
L-system 이라고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식물을 그리는 것도 했었구요.
여하튼 정말 그분야의 최고이신 교수님이셨는데
몇년전에 정년 퇴임하셨는데 지금은 무얼하고 계신지 참 궁금하네요
학부때 그분께 수업을 듣던때가 그립네요
그래서 몇자 끄적여 봤습니다 ^^;;
====================================
BornAgain !!
Email: jskim98@gmail.com
====================================
====================================
BornAgain !!
Email: jskim98@gmail.com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