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서버두고 한국에 서버둬서 연동이 되나요?
글쓴이: hinewwiner / 작성시간: 금, 2008/04/25 - 1:30오전
안녕하세요?
제가 현재 미국에 있는데, 미국에 서버를 두고 한국에도 서버를둬서, 서로 다 동기화가 될수있는지 궁굼합니다.
현재 미국에만 서버를두니까, 한국 에서 접속시 속도가 느린거같아서 한국에도 하나둬서 서로 연동시킬려구하는데 될련지 모르겠군요.
예를들면 한국서 http://abc.com 에 접속하면 한국서버로 접속이되고, 미국서 http://abc.com 하면 미국 에 있는서버에 접속 되게 구현할려구요.
그리고 한국서버에 접속된 유저가 글을남기면 자동으로 미국서버에 연동이되서 서로 자료가 같이있게할려구합니다.
너무.. 많은걸 원하는건가요 ㅠ
감사합니다.
Forums:
일단 데이터를 어떤
일단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동기화 시킬 것인가를 고민해야할 듯 합니다.
1.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한시간 간격)으로 crond를 통해서 데이터 디렉토리를 rsync등으로 동기화 시키는
방법도 괜찮을 듯 합니다. 이럴 경우 1시간 정도의 gap이 있지만, 그동안에 변경된 DB의 내용만 rsync로 동기화
되므로 느린 대역폭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솔루션이 될 듯 합니다.
2. rsync와 같은 시간 간격이 아니라 시스템 자체에서 데이터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동기화가 되도록 하고 싶다면
CODA File System 등과 같은 Network 기반의 File System을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이럴 경우 각각의
미국과 한국에서 변경된 파일의 내용은 Local 하드에 Cache처럼 저장되고, 네트워크에 따라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두 파일시스템을 동기화 시켜줄 겁니다. 하도 오래전... 약 8년전에 테스트해봐서 요즘은 더 잘될지도 모르겠습니다.
3. abc.com 에 들어오는 접속에 대해서 나라별로 분산시키는 것은... 제가 잘 모르는 분야라서 패스~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접속이 많으면
접속이 많으면 CDN업체의 Application Delivery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겠지만 비용이 꽤 나올 거고요,
사용자의 국가별 분산도 DNS기반 Global Load Balancer를 사용하시거나, 간단하게는
http://www.caraytech.com/geodns/
이런것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
익스펙토 페트로눔
--
익스펙토 페트로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음햐햐
http://case.ksan2.net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