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 서버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입니다..

hyper9의 이미지

블레이드 서버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어졌어요 ~

일단 블레이드 서버에 대한 정의(?)를 좀 알고 싶어요.
대충 알것 같긴 하지만,,정확한 내용을 몰라서 한 수 지도를 해주실 분이 안계신가 해서요 ~

그리고 혹시 지금 블레이드 서버를 직접 관여하시면서 사용/관리 하시는 분이 계시면
어떤 기종을 쓰고 계시고, 왜 그 기종을 고르셨는지 등도 알 수 있을까요?
저도 한가지 기종을 골라야 하는 입장이라 참고할 만한 의견을 좀 듣고 싶어서요 ..

그리고 블레이드 서버에 OS로 Linux를 쓰시는 분들께는 어떤 Linux distro와 version을
사용하시는 건지,,또 일반 서버에 비해서 차이점이 어떤건지도 듣고 싶어요.

특히 Linux를 설치/운용하는 입장에서 블레이드 서버를 사용할 때와 일반 서버를 사용할 때
가 어떻게 다른지도 감을 좀 잡았으면 하는데,,지금은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

여러가지로 질문드려서 복잡할지도 모르겠네요,,많은 답변 및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에 대해서 미리 감사도 드립니다. ^^

glimpsovstar의 이미지

사실 블레이드 서버와 다른 서버들과 다른 점은 아마도 formfacor가 가장 크지 않을까요?
워낙에 datacenter의 자리의 한계와 같은 문제들을 address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blade는 약 4U~6U 자리에 8대의 서버를 넣어 사용할수 있다.. 그렇게 얘기하죠.

그런데, 알기로는 현재 Data Center들 마다 블레이드를 않받아준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열량이라던지, 전기 소모등등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이쪽에서 일하다 보니 (소프트웨어 회사), IBM, HP, Dell, Sun, 마지막 2군데의 것들만 빼고, 앞의 IBM과 HP같은 경우는 많이 일해봤습니다.
몇일전에, HP쪽에선 Storage expension까지 내어놓아서 SCSI로 shared storage를 구성할수도 있다죠.
싼 가격의 Cluster 환경 구성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8대의 서버를 넣을 수도 있지만 4대의 서버와 Memory혹은 Stoage expension으로 memory와 storage를 더 넣을 수도 있다죠.

근데.. 정말 fan소리 시끄럽습니다.
열도 많이나는 편이고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비싼 Blade로 가느니, 1U짜리로 가는 것이 사용이나 관리면에서 편하다 생각합니다.
(관리 소프트웨어 많고 좋은 것은 사실이나.. 만일 샤시쪽에 문제 생기면 8대 다 내려야 하니까요..)

리눅스 만세~

리눅스 만세~

hyper9의 이미지

Blade Server를 조금 조사해서 공부하는 중인데요,,
궁금함이 드는 것이 있네요,
예를 들어,,하나의 Chassis에 Server Blade를 10개 설치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고, 또 하나의 Server Blade가 2개의 Ethernet Port
(주로 Gigabit Port가 되겠죠..?) 정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요,,,

Blade Server 앞면에는 Ethernet Cable이 20개 정도가 보이게 될 것 같은데요,,

이렇게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게될까요? 아니면,,Server Blade처럼,,전용 Blade를
사용해서 이러한 Cable을 좀 예쁘게 정리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지,,금방 그림이
잘 안그려져서 질문 드립니다.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거나,,또는 명쾌한 답변을 주실 수 있는 분이 많으실 걸로 기대를 하면서
질문 다시 드립니다. ^^

mycluster의 이미지

보통은 그렇게 랜케이블을 주렁주렁 다는 것이 아니락,
블레이드 폼펙트에 보면 하나의 완성된 샤시에, 서버블레이드를 장착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웤 블레이드가 따로 들어가고, 하드가 내장된
스토리지 블레이드가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블레이드를 꽂을 때마다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블레이드 들을 장착한후
네트워크 스위치에 해당하는 모듈에 외부 랜선을 꽂으면 나머지가 랜이
연결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렁주렁 달거면 머할라고 비싼돈주고 블레이드서버 사겠습니까?
HP의 블레이드 박스에 대한 자료를 보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http://h18004.www1.hp.com/products/blades/components/c-class-components.html

여기 보시면 전체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 블레이드파트들이 나름 나와있습니다.
인터콘넥터 어쩌고 하는 것이 보통은 저런 역할을 하라고 되어 있고, 블레이드서버의 궁극의
목표는 IT Infra의 손쉬운 provisioning이라고 볼때, 선을 주렁주렁 단다는 것은 전혀
블레이드가 지향하는 바가 아니겠지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hyper9의 이미지

위의 분께서 설명해 주신 내용 감사합니다.
하지만 몇가지 더 질문이 생겨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위에 link해 주신 곳을 따라가 보니,,,HP의 의 Blade Server에 대한

Enclosure, Management Software, Server Blades, Storage Blades,
Interconnects, Expansion 이라는 것 들이 소개되어 있네요

첫번째 질문은요,,,
Server Blade를 보면,,DISK를 어떤걸 사용한다는 식의 설명이 Server Blade
의 Specification에 나와 있는데요,,이건 Server Blade에 내장된 DISK
를 말하는 것 같아 보이는데,,제 생각이 맞는지요?

그렇다면 Server Blade에 내장된 Disk정도로는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DISK
를 대용량으로 추가할 때 Storage Blades라는 것을 사용하는 것인지요?

그리고 두번째 질문은요...
Interconnects라는 것을 조금 들여다 보니,,마치 Switch같아 보이네요 ..
그렇다면 독립된 Ethernet Switch와 같은 Module로 이해를 하면 되나요?
만일 그렇다면,,이 Switch는 Server Blade에 각각 2개 정도 나와있는 Ethernet Port
(주로 Gigabit port)의 port를 연결하는 용도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나 싶기도 하네요
그렇다면 이러한 Switch Module은 결국 Server Blade와 communication할때는
Chassis의 Back Plane을 통해서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Interconnects소개난을 보니 Virtual Connect라는 것도 있던데요,,,
혹시 이것이 Server Blade의 Port를 extend하기 위해 쓰이는 건 아닌지 싶기도 하네요,,

조금 더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mycluster의 이미지

> 첫번째 질문은요,,,
> Server Blade를 보면,,DISK를 어떤걸 사용한다는 식의 설명이 Server Blade
> 의 Specification에 나와 있는데요,,이건 Server Blade에 내장된 DISK
> 를 말하는 것 같아 보이는데,,제 생각이 맞는지요?

> 그렇다면 Server Blade에 내장된 Disk정도로는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DISK
> 를 대용량으로 추가할 때 Storage Blades라는 것을 사용하는 것인지요?

그리고 두번째 질문은요...

> Interconnects라는 것을 조금 들여다 보니,,마치 Switch같아 보이네요 ..
> 그렇다면 독립된 Ethernet Switch와 같은 Module로 이해를 하면 되나요?
> 만일 그렇다면,,이 Switch는 Server Blade에 각각 2개 정도 나와있는 Ethernet Port
> (주로 Gigabit port)의 port를 연결하는 용도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나 싶기도 하네요
> 그렇다면 이러한 Switch Module은 결국 Server Blade와 communication할때는
> Chassis의 Back Plane을 통해서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샤시와 백플레인을 통해서 한다고 저도 들었습니다. 저도 설치된 것만 봐서... 어쨌던,
샤시로 들어가는 랜선은 하나였습니다. 블레이드는 몇장이었지만.

> Interconnects소개난을 보니 Virtual Connect라는 것도 있던데요,,,
> 혹시 이것이 Server Blade의 Port를 extend하기 위해 쓰이는 건 아닌지 싶기도 하네요,,

이건 저도 잘 몰겠습니다.

조금 더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hyper9의 이미지

점점 Blade Server에 대해서 너무 모르고 있구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ㅜㅜ

이번에 궁금한 점은 OS를 설치하는 문제인데요 ,,,

예를 들어 Linux를 OS로 설치한다면,,,또 Server Blade가 5개 정도 장착이
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고, 또 이 Server Blade는 각각 Internal Storage (DISK)
를 장착하고 있다고 가정을 하면요,,

어느 하나의 Server Blade에만 Linux를 설치하면 되나요? 아니면 각각 5개의
Server Blade에 모두 OS (Linux)를 설치해야 하나요?

1) 만일 한 곳에만 설치할 수 있다면,,그 하나의 Server Blade가 Master가 되는
것 같이 이해가 되는데,,그럼 그 Server Blade가 죽으면 시스템이 전체가 죽게
될 것 같은데,,,말이 안되나요???

2) 만일 5개의 Server Blade에 각각 Linux를 설치해야 한다면,,각각의 Server Blade
는 어떻게 서로 communication을 할 수 있을까요??? 이것도 좀 말이 안되어 보이고,,

결국은 위의 1),2)번이 아닌 전혀 다른 방법일까요??

제 질문 자체가 너무 모호하다 싶으시면 다시 지적해 주세요 ~
그럼,,

mycluster의 이미지

> 어느 하나의 Server Blade에만 Linux를 설치하면 되나요? 아니면 각각 5개의
> Server Blade에 모두 OS (Linux)를 설치해야 하나요?

제가 봤던 곳은 각각의 블레이드마다 윈2003을 깔았고요, 리눅스를 설치한다고 했을때,
로컬하드에 리눅스를 각각 깔것인지, 아니면 Diskless처럼 부팅할 것인지는 결정하기
나름으로 보이는군요. 보편적으로 자동설치 툴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실제
5대를 다 설치한다고 해도, 관리툴에서 자동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1) 만일 한 곳에만 설치할 수 있다면,,그 하나의 Server Blade가 Master가 되는
> 것 같이 이해가 되는데,,그럼 그 Server Blade가 죽으면 시스템이 전체가 죽게
> 될 것 같은데,,,말이 안되나요???

보통 이런경우는 Diskless 시스템의 경우에 항상 벌어지는 일이기는 한데요, 이렇게 한다면
보통 마스터를 Dual로 두는게 안전하겠지요. 블레이드를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본적이
없어서...

> 2) 만일 5개의 Server Blade에 각각 Linux를 설치해야 한다면,,각각의 Server Blade
> 는 어떻게 서로 communication을 할 수 있을까요??? 이것도 좀 말이 안되어 보이고,,

보통은 관리용으로 제공되는 시리얼콘솔이 있고요, iLO라는 것도 있어서 네트워크와는 별개로
콘솔이 직접 관리툴에서 보입니다. HP는 Ploliant 서버 계열을 위한 관리툴을 제공하고 있고요,
IBM도 마찬가지로, 이들은 시리얼 콘솔을 통해서 중앙에서 시스템의 오에스 설치 및 각종 관리를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한마디로 한대씩 깔면 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블레이드서버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5대의 블레이드에 리눅스를
깔아서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다음의 방법이 어떨까 합니다.

1. 다섯개의 서버블레이드 + 스토리지블레이드(모든 블레이드에서 공유)
2. 각각의 서버블레이드에 가상화를 위한 Hypervisor설치
3. 스토리지 블레이드에는 리눅스VM을 설치
4. 각 노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guestOS를 부팅

블레이드 시스템이 1U에 비해서 경쟁력을 갖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상화와 함께 사용할 때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부하 피크가 올랐다가 내렸다가를 하는 것이 반복될때,필요시에 블레이드를
신속하게 추가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미리 블레이드서버 인클로져를 랙에 설치하고, 블레이드는 몇개만 꽂아둔 상태에서
부하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경우나, 급하게 새로운 하드웨어를 제공해야하는 IT관리자의 경우에는
블레이드를 바로 꽂고, Hypervisor를 부팅하고(보통 PXE로 됩니다) 스토리지 블레이드에 있는
적절한 Virtual 머신을 새로운 블레이드에 로딩함으로써, 단시간에 새로운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블레이드입니다.

똑같은 일을 1U서버로 한다고 하면, 랙을 열고 서버를 꽂고, 랜선을 연결하고, 콘솔을 붙여서(혹은
시리얼 콘솔라인을 연결하고)위의 과정을 수행해야한다고 할때, 작업 ㅎ효율은 현저히 달라지게 되는거죠.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BBCode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Textile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You can use Textile markup to format text.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Markdown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Quick Tips:
    • Two or more spaces at a line's end = Line break
    • Double returns = Paragraph
    • *Single asterisks* or _single underscores_ = Emphasis
    • **Double** or __double__ = Strong
    • This is [a link](http://the.link.example.com "The optional title text")
    For complete details on the Markdown syntax, see the Markdown documentation and Markdown Extra documentation for tables, footnotes, and more.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Plain text

  •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줄과 단락은 자동으로 분리됩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