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ibc 빌드와 관련하여...
계속 질문만하는군요. =_=
클로스컴파일러를 클로스 컴파일 할려고 합니다.
pc-linux에서 mingw32 -> ppc-linux용 컴파일러를
빌드 할려고 하는데요.
pc-linux -> mingw32, pc-linux -> ppc-linux용
컴파일러(bootstrap이라고하나요? 초보라;;;)
를 이상없이 만들어 두었구요.
그후에 mingw32->ppc-linux용 bootstrap까지
성공했습니다.
그후에 glibc를 빌드 할려고하는데요.
glibc의 버젼은 2.3.2 입니다.
그리고 threads를 포함 하구요.
makefile을 만들기 위해 configre에 옵션을
build는 pc-linux, host는 mingw32, target은 ppc-linux
로 하고 enable-shard, enable-add-ons=linux-threads,
with-header/opt/Mingw32-ppcLinux/include,
with-binutils=/opt/Mingw32-ppcLinux/Powerpc-Linux-gnu/bin
으로 하고 make all-gcc를 했는데요.
빌드도중 특정 .h 파일이 없다고 하며 멈추어버리네요.
with-header에서 대상 시스템의 kernel 해더를 주는것이 맞는지요?
대상 시스템이 임베비드로 극히 경량화된 시스템 파일로
되어있어서 header파일이 없고 기존에 있던 클로스 컴파일러
에 있던 include디렉토리를 복사해와서 그 위치를
넣어주었는데요. 이 부분이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대상 시스템은 linux kernel 2.4.20 을 사용 하고 있습니다.
kernel 해더 파일의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것이고
kernel.org에 있는 같은 버젼의 linux kernel 소스 파일을 받아와서
연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대상 시스템의 mcu는 ibm ppc 405입니다.
원하는 타겟용으로
원하는 타겟용으로 설정된 커널 헤더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커널 소스만 풀어놓으면 되는게 아니라 make config 같은 명령으로 적절하게 설정을 해야 하는데;; "적절한" 설정을 하는게 문제긴 하네요;;
그냥 질답란에서 하나하나씩 찾아가는 것 보다는 구글 검색에서 linux cross compile에 대한 글들을 읽어보면서 LFS(Linux From Scratch)와 컴파일러 및 어셈블러, 링커의 역할등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진행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Do not feed troll!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