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사용 방법에 대해서 ㅠ
----------------------------------------------------------------------
http://bbs.kldp.org/viewtopic.php?t=27734&highlight=vmware
-----------------------------------------------------------------------
여기에 나와 있는 내용을 따라했는데 안되네요 ㅠ
어떻게 하면 되죠 ?
밑에 있는 내용대로 하면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핑이 쏴져야 하는데 쏴지지가 않네요 ㅠ
--------------------------------------------------------------------------------------------------------------------
0. 윈도우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로컬 영역 연결'의 '등록정보'에서 '공유'탭을 선택하시고, '이 연결에 인터넷 연결 공유 사용'을 체크합니다...
('로컬 네트워크의 경우' 항목에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을 선택해 놓습니다...)
1.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의 '등록정보'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 정보'의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확인해 놓습니다...
(대체로 IP는 192.168.0.1,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으로 잡혀 있을 것입니다...)
2. GuestOS 환경을 설정할때, NIC를 custom으로 잡으시고, vmnet8(NAT)을 선택합니다...()
3. Redhat Linux 9를 설치하시고 eth0의 설정을 IP는 VMWare의 'Edit -> Virtual Network Settings...'에서 'DHCP' 탭의 'VMnet8'의 'Properties'에 설정된
'Start IP Address'와 'End IP Address'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잡으시고,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 게이트웨이는 VMWare의 'Edit -> Virtual Network Settings...'에서
'NAT'탭의 'Gateway IP address'를 확인하여 똑같이 넣습니다...
그리고 DNS는 1번 항목에서 확인하신 IP 주소를 입력하시구요... 이렇게 하면 설정이 모두 끝납니다...
(종전의 가물거리는 기억으로 썼던 내용으로 인해 삽질하신 분들께 고개를 조아려 사죄드립니다...)
4. eth0 설정후 저장 하시고 다시 활성화 해준 후 ping으로 네트워크가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가 활성화
네트워크가 활성화 됐는지는 확인하셨나요..? /sbin/ifconfig eth0로 ipaddr이 잡혔는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