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flash를 동작시킬 수 있는 라이브러리(엔진)이 있어야 합니다.
PC에서는 Flash Plug-In이 있듯이 임베디드 장비에는 Flash 라이브러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 소스는 오픈 소스로 진행된 것들도 있지만, Flash 버젼이 보통 낮습니다.
Adobe에서 소스를 받아 포팅을 하거나 포팅된 라이브러리를 구해야 합니다만
소스는 개인한테 절대 주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메뉴에 쓰인 플래쉬를 통해서 어플을 실행하거나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Flash Script의 fscommand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Flash를 이용한 어플에서는 .swf파일에서 fscommand로 전달된 내용에 따라서 각 기능을 수행하면 됩니다.
1. MFC는 플래쉬 플레이어를 만들어 줄 때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2. DirectX는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3. EVC 포팅은 구해진 소스의 상태나 기술지원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flash는 flash일 뿐...
일단, flash를 동작시킬 수 있는 라이브러리(엔진)이 있어야 합니다.
PC에서는 Flash Plug-In이 있듯이 임베디드 장비에는 Flash 라이브러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 소스는 오픈 소스로 진행된 것들도 있지만, Flash 버젼이 보통 낮습니다.
Adobe에서 소스를 받아 포팅을 하거나 포팅된 라이브러리를 구해야 합니다만
소스는 개인한테 절대 주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메뉴에 쓰인 플래쉬를 통해서 어플을 실행하거나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Flash Script의 fscommand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Flash를 이용한 어플에서는 .swf파일에서 fscommand로 전달된 내용에 따라서 각 기능을 수행하면 됩니다.
1. MFC는 플래쉬 플레이어를 만들어 줄 때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2. DirectX는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3. EVC 포팅은 구해진 소스의 상태나 기술지원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답변이라고 달아봤지만 좀 막연한 내용이네요.
iStation에서 FlashLite를
iStation에서 FlashLite를 사용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
아마도 FlashLite를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레인콤(아이리버)제품들은 FlashLite를 사용해서
UI를 개발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FlashLite에 저도 관심이 있어서,
우연히 개발하시는 분하고 잠깐 이야기 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질문하신거에 답변드리면,
1. MFC 를 사용 하여야 하는가?
FlashLite가 MFC에 의존성은 없다고 들었어요.
2. DirectX 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이건 잘 모르겠지만, DirectX 사용하지 않는 걸로 얼핏들은거 같아요.
3. EVC 포팅이 용이 한가?
이번 개발할 때, EVC를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내요.
Visual Studio 2005로 컴파일하는 것 같던대...
딱히 정확한 답변은 아닌 것 같내요.. ^^;
관심이 있으시면 저희 회사에(...)
iStation에 저희 회사것이 들어갔는지는 모르겠지만(개발자라지만 관심좀 가져라), 이곳저곳에 플래시 엔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삼성폰, 맥시안 등..)
제가 알기로 모바일 기기에 들어가는 플래시 엔진은 Adobe, NeoMtel, 저희 회사(디지탈아리아)가 있고요, 플래시 파일(swf)을 쓰는 건 아니지만, 플래시처럼 화려한 UI를 위한 엔진을 개발하는 회사는 더 많습니다.
대부분의 엔진은 다양한 환경에서 돌아야 하므로 MFC나 DirectX 같은 것에 의존한 엔진은 없을 겁니다. EVC 환경에서도 돌아가는 건 제각각이겠지만, 일단 저희회사는 evc에서도 작업은 되어 있습니다.
뭐 기본적으론 일반적인 라이브러리 프로그래밍하고 똑같습니다. 고려할 수 있는 환경을 다 고려해서 포팅 가능하도록 짜는 거죠. 다만 그래픽 출력, 사용자 입력, 네트워크 등등은 각 기기마다 제각각이니까 이런 건 좀 고려해서 짠 프로그램인거죠.
flash lite 로얄티가 얼마인가요?
ㅎㅎ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flash lite 로얄티가 기기당 얼마 정도 되나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