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vsftpd에서 포트 변경시...
안녕하세요,
우분트 6.06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에 VDSL을 연결하고 내부에 PC 몇대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리눅스가 공유기인 셈이죠.
ftp service를 위해 vsftpd를 이용하여 anonymous사용자와 가상 사용자와 구별하여 사용할려고 하는데
이것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vsftpd.conf에 설정할 수가 없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anonymous사용자를 위한 vsftpd.conf와 가상 사용자를 위한 vsftpd-user.conf를 만들어 vsftpd 데몬
두개 실행하여 서비스를 할려고 하는데 listen_port에서 문제에 부딪혀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
문제는 anonymous사용자를 위한 vsftpd.conf에서 기본 포트로 설정해서 외부에서 연결하면 문제가 없는데
listen_port를 9021처럼 다른 포트를 지정을 하면 로그인은 되는데 ls를 하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발생합니다.
ftp> dir
500 Illegal PORT command.
425 Use PORT or PASV first.
그러나, 내부에서 사설 IP로 접속하면 이상이 없습니다.
아래는 사용한 vsftpd.conf의 내용입니다.
====
listen=YES
listen_port=9021
# Access rights
anonymous_enable=YES
local_enable=NO
write_enable=NO
anon_upload_enable=NO
anon_mkdir_write_enable=NO
anon_other_write_enable=NO
# Security
anon_world_readable_only=YES
connect_from_port_20=NO
hide_ids=YES
pasv_enable=YES
pasv_address=x.x.x.x
pasv_min_port=6500
pasv_max_port=6550
# Features
xferlog_enable=YES
ls_recurse_enable=NO
ascii_download_enable=NO
async_abor_enable=YES
# Performance
one_process_model=YES
idle_session_timeout=120
data_connection_timeout=300
accept_timeout=60
connect_timeout=60
anon_max_rate=50000
====
※ pasv_address의 x.x.x.x는 실제 KT에 DHCP로 받은 공인 IP Address입니다.
어떤 설정이 더 필요할까요?
감사합니다.
기본 포트로 익명사용자와 가상 사용자를 같이....
원하는 대로 설정을 마쳤네요. 처음 의도가 익명사용자와 가상사용자를 ftp serivce를 이용하게끔 하면서
익명사용자는 다운로드만 가상사용자는 별도의 디렉토리에서 다운로드/업로드 모두 사용하게끔 하는 거였는데..
처음에 하나의 vsftpd.conf에 설정을 하고 안되길래 익명사용자와 가상사용자를 같이 설정하면 안되나 싶어
별도의 conf를 만들고 가상사용자의 conf에서 listen_port를 9021로 해서 사용할려고 했는데 처음 질문한 것
처럼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 처음 의도대로 하나의 conf에 설정을 하여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설정에 문제가 있었는지는 저도 모르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