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i 시스템엔지니어 / 직업전문가 인터뷰
SBSi 시스템엔지니어 / 직업전문가 인터뷰
Content Value Creator로 거듭난다
SBSi 디자인&시스템팀 시스템 엔지니어/개발파트장
SBSi는 1999년 8월 종합 미디어 그룹 SBS의 디지털 매체 기능을 담당하는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SBS의 TV, 라디오, 케이블 TV 프로그램을 디지털화 하여 인터넷, 모바일 등 각종 신규 매체를 통해 공급해 온 SBSi는 영화, 만화 등 방송과 관련한 컨텐츠는 물론 교육, 문화, 금융 등 비방송 영역으로의 컨텐츠 확대와 다양화를 꾀하는 한편 컨텐츠의 생산에서 판매까지에 이르는 복잡한 가치 사슬 속에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활동을 통해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전달하는 Content Value Creator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인트렉티브 생방송을 선보였던 SBSi는 위성, 데이터방송,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뉴미디어 응용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자체 기술력 확보에도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01년 9월 업계 최초로 VOD 유료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국내 컨텐츠 산업의 안정적 발전에 기여한 SBSi 이공계 2인방을 만나본다.
_코리아리크루트㈜ 미디어사업부 홍보팀 이지원_
“VOD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제 임무죠”
권혁선_SBSi 시스템 엔지니어
-권혁선 시스템 엔지니어는?
“밤새 250대가 넘는 방송장비가 이상없이 잘 작동했는지를 점검하는 일에서부터 하루를 시작합니다” 라고 말하는 시스템 엔지니어 권혁선 과장(33)은 장비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다.
SBSi에 입사한지 4년차인 그는 대학시절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공학도였다. 졸업 후 벤처기업에서 3년간 경력을 쌓으면서 동시에 이공계 학생들에게 IT자격증 관련 강의를 하기도 했던 경험 역시 가지고 있다.
신입사원처럼 보일 정도로 웃는 모습이 천진난만했던 권혁선 과장을 SBS 목동 신사옥 22층에서 만나 신바람나는 그의 업무에 대해 들어보았다.
-주요 업무는?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SBSi의 시스템 엔지니어가 주로 하는 업무는 바로 ‘VOD서비스’이다. 쉽게 말하자면, TV드라마가 나오면 이것을 파일로 만들어서 인터넷에 올려야 하는데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기계, 즉 서버를 구매하고 컨텐츠를 보관, 운영,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장비가 고장났을 때 수리하는 일 역시 맡고 있다.
현재 SBSi에는 4명의 시스템 엔지니어들이 10만가지가 넘는 컨텐츠 내용을 관리하고 있다.그는 이 많은 자료들을 장비에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방송의 시청률에 따라 인기가 많은 프로그램에 더 많은 장비를 할당해줘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업무의 특징과 장단점은?
이 업무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새로운 장비를 계속 접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기계가 출시되기 몇 년 전부터 미리 그 정보를 찾아볼 정도로 워낙 호기심이 많은 성격이라는 그는 지금 맡고 있는 일이 참 재미있고 매력적이라고.
업무의 장점을 소개해달라는 요청에 “전 제 일을 참 좋아해요”라고 주저없이 대답하는 그의 얼굴에는 자신의 일을 즐기는 모습이 역력했다.
그러나 성격이 맞지 않는다면 이 부분이 동시에 단점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탐구해야 하므로 언제나 공부하는 자세가 동반돼야 하는데, 성격이 게으르다면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방송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에 대한 지식도 갖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또 다른 특징이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시청률을 파악해서 장비를 얼마나 더 임대해야 하는지 여부 역시 결정해야 하므로 방송기술 쪽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비정기적이긴 하지만 SBS 담당자들과 관련회의를 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그는 좋다고 해서 구매한 장비가 성능이 떨어지고 제대로 작동을 안할 때 속상하다는 심경도 털어놓았다.
-입사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사실 요즘 대학생들은 자격증을 많이 준비하는데 이 업무에 있어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이 만지게 될 장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그는 현실적으로 학생들이 큰 장비를 직접 다뤄볼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장비에 대한 폭넓은 정보와 이론을 알고 있으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그 역시 입사 전 hp, IBM등의 웹사이트에 하루에도 몇십 번씩 접속해 새로 출시될 예정이거나 판매중인 모델의 스펙과 성능에 대해 숙지하고 있었던 점이 업무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왜냐하면 지금 SBSi에서 쓰고 있는 장비들이 대부분 hp 같은 회사에서 생산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장비 운영 및 관리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를 찾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기술이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으므로 항상 새로운 정보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며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아서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직무에 맞는 성격은?
성격은 차분하고 꼼꼼, 세심하면 좋겠다.
또한 업무 특징상 시키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남보다 한 발 앞서 준비해야 하므로 부지런하고 재빨라야 한다. 새로 나오는 기계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해서 발품 팔아가면서 정보를 습득하는 취미를 가진 사람이라면 금상첨화다.
“시스템 쪽에는 여직원이 한 명도 없다”며 아쉬움을 표현하는 그는 “꼼꼼하고 세심한 여성분들은 이 업무에 잘 맞을 것”이라고 예비 여성 엔지니어를 만나길 기대했다.
이 글은 제가 서핑하다가 퍼온 글입니다. 그곳에도 출처가 불분명하여 자세한 출처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출처를 아시는 분은... 달아주세요~ ^^
출처 : (주)코리아리크루트 사의 잡매거진 기사 중
죄송합니다만...
이글을 직접 작성하셨는지요? 그렇지 않고 해당글을 작성하신 분에게 복사에 대한 양해를 구하셨나요?
그것이 아니라면 무단 복제는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혹시 마지막 '여성'에 관한 부분이 필요하셨었다면 위에 있는 원문은 링크로 처리하시고 그부분만
각색해서(일부를 그대로 복사하는 것도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올리셨으면 합니다.
P.S. : 산업기술 유출방지법인지 뭔지하는 법을 읽고 났더니 머리가 너무 아프네요...
위에 글이 거슬리시더라도 KLDP가 존속될 수 있도록 지킬 것은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인용글을 쓰신 분이 법적으로 따지고 들어가면 상당히 머리아픕니다.)
"네가 뭔 상관이냐."라고 말씀하신다면 할말은 없지만요.
------------------------------
14600원을 저금해야할 때
부자는 400원을 더해서 15000원을 저금하고 가난한 사람은 600원을 빼고 14000원을
저금한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원래 원문은
원래 원문은 (주)코리아리크루트 사의 잡매거진 기사 중 하나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이 분야 말고 몇몇 분야에 대한 주기적인 인터뷰 기사를 내보냈던것으로 기억이 나네요.
########### 기운이 솟아나는 티거 호랑이 노래 ###########
폴짝폴짝 폴짝폴짝 비켜나세요. 티거가 나가거든요 폴짝폴짝폴짝~
저기가는 저 푸우 조심하세요~ 바지벗고 다니다가 어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