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에서 리눅스 서버를 돌리려고합니다.(이미지 첨부)
아.. 공들여 썼던 글들이 날아가버린거 같네요 ㅠ ㅠ
가정에서 리눅스를 설치해서 서버 용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미지 파일을 첨부하겠으니 참고해주시고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먼저 [상황1]은 하드웨어에 직접 리눅스를 설치해서 멀티부팅을 하려고 합니다.
x window를 설치하지 않고 오직 서버용으로만 사용할 계획입니다.
기본적으로 노트북에서 secure crt로 접속해서 ftp, ssh, telnet, mysql + tomcat + aphache 이렇게 해서 jsp코딩을 하려고합니다.
[상황2]는 단순 ftp, ssh, telnet 만 이용해서 c소켓등의 프로그래밍이나 파일 전송용으로만 사용하려고 합니다. 물론 외부 접속도 가능하게 하고 싶습니다.
리눅스의 사설 ip는 끝자리가 192.168.0.5, 192.168.0.15와 같이 5로 끝나게 하려합니다.
-------------------------------------[궁금한점]-------------------------------------
1. vmware에 리눅스를 설치하느냐,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하느냐에 따라서 NIC설정이 bridge가 효율적인지, NAT가 효율적인지 알고 싶습니다.
2. 현재로서 [상황2]로 vmware에서 설치한 sulinux가 내부 아이피로의 ssh, ftp 연결은 확인이 되었지만 외부로의 ping이 되지 않았습니다.
ifconfig를 쳐보면 gateway와 dns가 잡히지 않았고, etc/???/network 파일을 vi로 열었을때 IP와 SUBNETMASK만 주소가 있었습니다.
리눅스 설치시에 gateway와 dns를 설정하고 리부팅을 했는데도 말이죠. 혹시 network라는 파일을 열어서 직접 추가를 해주고 리부팅을 해도 되는지요? 아니면 특별히 어떤 서비스를 up시켜야하는 부분이 있는지요.
궁금한게 너무 많지만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야겠습니다.
첨부 | 파일 크기 |
---|---|
![]() | 6.5 KB |
![]() | 6.81 KB |
답변은 아닌데요;;;
제가 잘 몰라서 답변은 못 달아드리겠구요;;;
그냥 그림이 참 예뻐용;;;
----
The future is here. It's just not widely distributed yet.
- William Gibson
그림이 이쁘다는 말에 때문에 사족답니다;;
그냥 faststone이라는 화면캡쳐 프로그램으로
임의의 화면을 캡쳐한 다음에 전체이미지를 선택해서 삭제하고, 그 위에 텍스트 박스만 추가한 셈입니다;;
아이고.. 공부의 길이 너무 멀게만 느껴지네요 ㅠ ㅠ
답이 될지는 모르겠는데 ;;
1. Bridge를 쓰시는 편이 나을 것 같네요.
2. 어떤 배포판을 사용하시는 지 모르겠지만 Gateway는 잡아주시는 쪽이 좋을 것 같아요.
Bridge로 하셨다면 공유기 IP를 잡아주시면 되겠지요 ?
저도 가물가물해서 답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참고가 되시면 좋겠네요.
Bridge모드의 경우
Bridge모드의 경우 실제 존재 하는 녀석과 가상으로 존재하는 녀석을 하나로 장치로 인식하게 되므로 같은 IP를 부여 받게 됩니다.(원래 장치들은 결국 일종의 포트 역활만 합니다.)
이런 경우 내부에서 특징 IP를 부여하여 사용 한다면 편리하긴 하지만, VMWare를 실행 하고 그렇게 해서 쓰신다면 솔직히 설정 하는 것이 여의치 않을 수 있으므로 NAT를 쓰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하드웨어에 직접(VM말고.) 설치 하시는 경우라면 Bridge를 쓰시던 NAT를 쓰시던 별 일 없을 겁니다. 근대 뭐.. 그런 거 자체를 설정 할 필요가 없으시겠죠???
그리고 24시간 돌리시고 싶으시면 성능 좋은 컴퓨터에서 VM으로 24시간 켜 두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할 경우 메모리가 아까울 수도 있기 때문에 꼬옥 24시간 작업 하실 것이 아니면(혹은 돌리실 게 아니면.) 그냥 멀티 부팅 하도록 깔고 쓰시는 것이 좋으실 것 같군요.
흠흠. 아니면 Cygwin도 괸찮습니다 ㅎㅎㅎ.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제 기억에 ..
Bridge로 해도 static하게 IP를 부여하시면
별 문제 없이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 예전에 해본 것 같은데. -_-; 정확치는 않습니다. )
NAT로 하는 경우에
공유기도 DHCP server가 되고 ( gateway이기도 하죠. )
VMware 자체적으로도 DHCP server를 돌리게 되어서
( x.x.x.1을 호스트 x.x.x.2를 DHCP server이자 gateway로 잡았던 듯요. )
네트워크가 사실 하나가 아닌 두개가 되고,
혹시 좀 골치아파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들어 Bridge 모드를 권장해드린 것이고요.
잘 안된다면 .. -_-a
제 기억력 문제이니 ㅠ_ㅠ 이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