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리눅스에서 어떤 소켓 방식을 사용하나요?
글쓴이: hudoni / 작성시간: 금, 2007/07/13 - 9:44오후
요즘에는 리눅스에서 어떤 소켓 방식을 사용하나요?
요즘에도 예전과 같이 epoll이 대표적인가요?
아니면 새로운 기술이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3년 전에 select & thread 방식으로 서버 프로그램을 작성했었는데,
리눅스에서 서버 프로그래밍 할 때, fork와 thread 방식의 장단점과 선호도(?)가 궁금하네요.
질문이 조금 이상한데;;
요즘 리눅스상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서버 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ㅡ^
Forums:
linux는 잘모르겠고
linux는 잘모르겠고 unux계열은 주위에 select를 많이 사용하는군요.
fork, thread는 설계자 마음인 듯하네요.
그때그때
그때그때 다릅니다.
아주 대충 만들겠다면 fork() 등으로 만들고
접속자수가 많고 좀 부하가 걸린다 싶으면 select()..
접속자수가 매우매우 많으면 그때 epoll()을 쓰죠.
물론 개발 시간과 난이도는 epoll() > select() > fork() 순입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짧은 경험으로 보면....
예전에 처음 서버 프로그래밍 할때 클라이언트 접속시마다 포크를 했더니... 무수히 많은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해서 쓰레드로 구성을 변경한 기억이 나는군요....
갠적인 생각으로는 포크로 구성시에는 적은 수의 클라이언트가 아니면 곤란하다는 점이 있을 거 같고...
쓰레도로 구성시에는 한 놈이 죽을 경우 전부다 죽어버리는 경우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는거 같네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