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지금 NETSPOT을 맥인증으로 윈도우 XP에서 잘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 비스타에서 모두 IP를 받아오지를 못하는군요 ㅠㅠ
-_-;;
해결하신분 있으신가요?
무선랜 칩셋은 라링크 칩입니다.
비스타는 모르겠고 리눅스에서는 dhcp client쪽에서 broadcast 정보에다가 자신의 mac 주소를 강제로 넣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스타는 모르겠고, 리눅스는 dhcp client에던가 broadcast를 할 때 자기 mac주소를 알려주게끔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데비안 Unstable인데엽. network-manager-kde 사용 중입니다.
요즘 버전은 무선랜이 한번에 잘 안 붙더군요. 일단 AP 찍고
sudo ifconfig ath0 down sudo ifconfig ath0 up
를 한번씩 실행해야 하네요. 플럭스박스 메뉴에 등록해놓고 한번씩 눌러줍니다.
이러면 WPA2나 네스팟 모두 잘 접속됩니다. 그리고 dhcp3의 /etc/dhcp3/dhclinet.conf 파일에 MAC 주소를 넣을 필요도 없습니다.
------ 불가능,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니다
DHCP 설정만 하면 됩니다. :)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비스타는 모르겠고
비스타는 모르겠고 리눅스에서는 dhcp client쪽에서 broadcast 정보에다가 자신의 mac 주소를 강제로 넣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스타는 모르겠고,
비스타는 모르겠고, 리눅스는 dhcp client에던가 broadcast를 할 때 자기 mac주소를 알려주게끔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데비안 Unstable인데엽.
데비안 Unstable인데엽. network-manager-kde 사용 중입니다.
요즘 버전은 무선랜이 한번에 잘 안 붙더군요. 일단 AP 찍고
sudo ifconfig ath0 down
sudo ifconfig ath0 up
를 한번씩 실행해야 하네요. 플럭스박스 메뉴에 등록해놓고 한번씩
눌러줍니다.
이러면 WPA2나 네스팟 모두 잘 접속됩니다. 그리고 dhcp3의 /etc/dhcp3/dhclinet.conf
파일에 MAC 주소를 넣을 필요도 없습니다.
------
불가능,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니다
저도 MAC 인증으로 쓰고 있습니다.
DHCP 설정만 하면 됩니다. :)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