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연결이 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우분투의 사용은 어찌하면 될까요.?
지금 제가 사정상 데스크탑을 이용할 수가 없고 오직 노트북만 이용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인터넷 라인은 역시 사정상(눈물 나는군요..제 사정이라는게...) 친구의 공유기에서
나오는 무선인터넷을 겨우겨우 잡아서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 상황에서 제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7.04 버젼이구요.
이게 제가 사용한 첫 리눅스이고, 리눅스의 설치목적은 프로그래밍입니다.
노트북은 X60s 라는 기종으로 서브노트북인데, 기본적으로 CD드라이브가 없습니다. 그래서
USB부팅으로 우분투의 경우 라이브 시디기능이란게 있어서 아무 문제없이 설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베릴은 고사하고 기본적인 C 컴파일도 못하겠더라구요. (컴파일러는 있었는데 헤더파일이 없더라구요.)
어찌어찌 QnA등을 찾아서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헤더나 컴파일러는 어찌어찌 설치했습니다만,
문제는 우분투에서 제 노트북의 무선랜카드의 드라이버가 없는지 전혀 감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런저런 책들과 Qna를 살펴본바 커널 컴파일이라는게 필요한거 같은데,
그럼 그 커널컴파일을 할때 필요한 것들과 노트북의 무선네트워크의 드라이버 지원여부등은
어디서 확인하고 어떻게 확보해 주어야 하는건가 잘 모르겠네요.
리눅스를 처음부터 배운다는 생각으로 자동으로 이런거 저런거 해주는거 보다는 직접 명령을 입력해가면서
설치를 해보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접근하는게 좋을지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직접 명령은 별로 중요한게 아니니까
편한 길을 선택하세요, 앞으로 가면 갈수록 지금보다도 더 편해집니다.
그리고 구글이라는 사이트를 사용하는데 익숙해지시는것도 좋겠지요.
====================여기부터 식인어흥====================
어흥 몰라 어흥? 호랑이 어흥!! 떡 하나 주면 어흥!! 떡 두개 주면 어흥어흥!!
음 -_-;..
이분 저랑 비슷하네요 이분도 헤더가 없다고 나온다시는데 ㅋ ㅠ...
..
우분투는 개발 패키지가 깔려 있지 않습니다.
libc6-dev 정도는 깔아 주셔야 될듯..
akudoku.net
life is only one time
sudo aptitude install
sudo aptitude install build-essential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