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write하는 파티션과 readonly 파시션을 구분해서 사용하면 ext2라도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read/write하는 데이터가 중요한 데이터(db등 작은 용량)일 경우는 flash등으로 jffs로 구현하구요...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이면 저널링복구도 안될 땐 그냥 새로 포멧해버리면... (어차비 비정상 종료는 사용자 책임으로 돌리는거죠..)
그리고 readonly는 마운트 할 때 아예 readonly로 하면 깨지는 일이 없죠.
일단 명확한 용도부터 나와야 할 듯 싶은데요
알려드리고 싶어도 용도에 따라 추천할 수 있는것이 다르니 일단은 용도를 말씀주세요
용도를 말씀주시면 다른 분들이 알려주실듯 싶습니다.
=3=33
====================여기부터 식인어흥====================
어흥 몰라 어흥? 호랑이 어흥!! 떡 하나 주면 어흥!! 떡 두개 주면 어흥어흥!!
read/write하는
read/write하는 파티션과 readonly 파시션을 구분해서 사용하면 ext2라도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read/write하는 데이터가 중요한 데이터(db등 작은 용량)일 경우는 flash등으로 jffs로 구현하구요...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이면 저널링복구도 안될 땐 그냥 새로 포멧해버리면... (어차비 비정상 종료는 사용자 책임으로 돌리는거죠..)
그리고 readonly는 마운트 할 때 아예 readonly로 하면 깨지는 일이 없죠.
예전에 제품 구성할 때 이렇게 한 기억이 있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