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웍 관리자분들은 vpn packet을 어떠한 packet으로 분석하는지 알고 싶네요..
글쓴이: slc / 작성시간: 토, 2007/04/14 - 6:51오전
제목을 써놓고 보니. 이해가 쉽지 않네요..
제가 알고 싶은것은...
대부분의 회사들이 특정사이트 혹은 특정서버:포트에는 접속이 안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증권사, 싸이월드(?) 등등..
그래서 집 PC에 openvpn을 이용한 vpn 서버를 구성해놓고..
port는 https 혹은 http로 구성을해서 사무실에서 접속한다면
방화벽이나 기타 네트웍 H/W 차원에서 볼때 어떠한 packet으로
받아들일까요?
네트웍 관리자.. 특히 보안담당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받아들일지
알고싶네요..
대충 PC에서 dump 받아보면 ssl data(?) 정도로 보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만.. 네트웍 쪽 지식은 짧은 편이라 네트웍을 관리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packet으로 보는건지 궁금해서요.
암호화된 web session으로 보는지 아니면 vpn session이라는 것을
눈치챌 수 있는 것인지..
Forums:
아마도... 뭔지 모를
아마도... 뭔지 모를 겁니다.
자주 출장을 가는 곳이... 외부인을 마치 죄수처럼 대하는 곳이라 80 포트 딸랑 하나만 열어주더군요. 확 사무실 sshd 를 80 포트로 바꿀까하다... 일단 연막을 치기 위해 22번 포트만이라도 열어달라고 정식 루트를 밟아서 요청하니 열어줍디다.
냉큼 ssh 터널을 뚫어서 메신저를 포함한 모든 것을 다 사용했습니다.
터널링으로 애매한 것들은 사무실 컴터에 쬐끄만 proxy 서버 띄워버리고.
물론 proxy 포트도 ssh 터널링.
cvs 포트 뚫어서 출장지 노트북으로 update/commit 까지했으니 말 다했지요.
한 반년 이렇게 사용해도 아무 말도 안하던데요.
저 뿐만 아니라 십여명이 -.-
아마 현재도 출장자들은 이걸 애용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지나고나서 보니 회사차원에서 vpn 서버를 운용하면 좋겠다싶습니다.
재택근무 솔루션 거의 전부가 vpn 이잖아요 ?
집에서 회사 인트라넷에 접속해야하니.
이 패킷들을 ISP 에서 알아볼 수 있다면 ... 좋아라 할 회사가 없을텐데...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
개인 메일 서버를 만들어 사용합시다..
언제부터 e-메일이 포털의 전유물이 된거지??
hom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