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에서 두번째 클라이언트가 접근하기.. 말을 어떻게 해야할지..
위의 그림과 같은 상황입니다.
제가 하고 싶은건 윈도우에서 web.co.kr이란 도메인으로 리눅스서버로 바로 접근하고 싶은건데요..
문제가 있습니다.
상황
================================================================================
리눅스서버(192.168.0.10) : 도메인을 web.co.kr로 바꿔서 설명드립니다.
- 플랫폼 : 젠투리눅스
- 포트 : 8080
- 공유기와 DMZ연결로 외부에서 바로 web.co.kr로 접근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외부에서 제컴터로
- 접근하는데는 현재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윈도우에서 이 리눅스의 웹서버에 접근해서 페이지를 가져오고 싶은건데요..
http://web.co.kr:8080 라고 윈도우에서 접근하면..
공유기의 설정화면 뜨게 됩니다. 윈도우에서 web.co.kr를 찾으려고 DNS에 갔다오가다..
공유기와 거쳐서 들어오는 바람에 공유기의 설정화면이 뜨나 봅니다.
일단 리눅스에서는 DNS주소가 168.126.63.1로 되어있는 이상...
이 현상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거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대신 그러면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거쳐.. 외부로 나가게 하면..
해당 리눅스 머신이 web.co.kr이니.. web.co.kr로 접근하면 제 리눅스에서 응답을 할테고...
나머지는 외부로 나가게 하면 될거 같은데요...
음... 방법이 없을까요..??
(전에 리눅스에 네임서버를 설치해서 해결했던게 기억나는데.. 꼭 네임서버 말고도 해결할 방법이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iptables 를 이용한 것도 괜찮구요.. 부탁드립니다.)
일단 급 꽁수로 .
일단 급 꽁수로 . 윈도우머신의 host파일에 web.co.kr을 192.168.0.10으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아마 host파일이 DNS보다 우선할 겁니다. 위치는.. c:\windows\system32\ 쯤이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web.co.kr 도메인을 가지고 계신거죠?
그렇다면 (방법은 모르지만) 공유기의 접속포트를 바꾸거나 8080외의 다른 포트를 이용해 리눅스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겠지요. 공유기의 9696 포트를 리눅스의 8080포트로 연결한다던가..
안타깝게도.. 공유기의 포트 설정은 없는거 같아요..
host 파일 찾아서 바꿔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ost파일 바꿔서 재부팅후 해봐도 되지를 않네요..
결국안되는 건가....
C:/windows/system32/drivers/e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이파일 수정하신거죠?
IPADRESS Domainname
이렇게.
저는 수정한 다음에 해당 도메인이 제가 지정한 ip로바로 연결되는데요?
이게 피싱 사이트들이 쓰는 방법이거든요,
아.. 되네요..
지송.. 제가 위치를 .. 반대로 썼었네요... 히긍.. 삽질은.. 언제까지 할껀지..
공유기의..
사용하시는 공유기가 어떤건지는 모르겠지만
공유기 외부접속포트를 변경할 수 없으면
공유기의 외부접속포트 사용을 안하시면 될듯 하군요.
이도저도 안되면 공유기 외부접속포트 변경등의 설정이 가능한공유기로 교체하시면 되겠군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