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문은 아니지만 라우터의 구성에 관해
글쓴이: irishubits / 작성시간: 금, 2007/01/05 - 8:11오후
시스코 라우터 설정중에서 시리얼 포트와 이더넷 포트의 ip설정을 다르게 해주던데요.
이더넷 포트는 스위치로 연결되고 시리얼 포트는 다른 어떠한 기게를 통해 다른 라우터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리얼 포트와 이더넷 포트의 설정중 한통이나 이런곳에서 제공받은 공인 ip의 주소를 적는 곳은 이더넷 포트라고 하던데요.
그리고 시리얼 포트는 다른 주소를 적는데 둘이 같으면 통신이 안된다고 하더군요.
시리얼 포트는 다른 주소로 적는데 뭔가 이유가 있는지요.
시리얼 포트에 적는 주소를 정하는 무언가의 공식같은 것이 있습니까? (막적으면 되는 겁니까 ㅡㅡ;)
그냥 궁금해서 끄적여 봤습니다.
리눅스 쓰시는 분들이 거의 서버를 사용하려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것 같고 또 그런 쪽에 경험이 풍부한 것 같아 몇글 끄적여 봅니다.
Forums:
공인ip 로 시리얼
공인ip 로 시리얼 통신 할 일은 없겠지요?
이더넷 카드 두장 꽂아놓고(혹은 2대의 컴퓨터에) 동일ip 설정하면 안되는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되네요.
emerge money

https://xenosi.de/
시리얼 포트에 적는
시리얼 포트에 적는 ip 는 공식이 있는것이 아니고 KT 에 연결된 거면 KT 쪽 엔진니어가 정해준거 설정하시면 됩니다.
만약 사내의 라우터끼리 서로 시리얼 연결하는거면 사내 네트워크 담당자가 임의로 정하면 되구요.
시리얼 포트는 1:1 로 라우터 끼리 연결되므로 '아무 ip'나 사용하여 양단간 서로 보기만 하면 됩니다.
근데 아무 ip를 고를때 비공인 ip를 많이 쓰죠 (공인 ip 아무거나 임의로 쓰면, 실제 그 ip 를 쓰는 곳하고는 네트워크가 안되겠죠. 또한 할당된 공인 ip를 라우터간 연결에 쓰기에는 좀 억울하죠? 라우터끼리 연결만 되면 되는데..)
KT 등등의 대규모 센터는 이 '아무ip'도 자기들 나름의 규칙을 정해서 사용하므로 그 쪽에서 정해줄겁니다.
다른 질문은 위에서
다른 질문은 위에서 설명해 주신 것 같고,
시리얼 포트에 적는 주소를 정하는 무언가의 공식같은 것이 있습니까? (막적으면 되는 겁니까 ㅡㅡ;)
-> Serial Port는 주로 1:1(router<->router)로 연결을 하기 때문에, 2개의 Host(IP)만 필요합니다.
그래서 30-bit subnet masking을 하게 되는데, 이러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IP가 2개가 됩니다.
KT나 Dacom 같은 업계의 관행상 상위국쪽 router port를 낮은 IP, 하위국쪽을 높은 IP를 사용합니다.
예)
KT router <-> 사무실 router
1.1.1.1 <-> 1.1.1.2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말씀하신 한국통신에서 부여한 IP 대역을 PC가 사용할 수 있으며, Default Gateway 를 Ethernet port에 IP와 같게 설정하면 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