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에서 ASM 을 쓸때 보통 어떤걸 쓰나요?? 제가 잘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어셈이라고 하면 종류가 하나밖에 없는줄알았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MASM , GAS , NASM 이렇게 종류가 많더군요....
이거 전부다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저 3종류가 문법에 조금 차이만 날뿐 하나 이해하면 전부다 이해가 되는 그런건가요??
어셈블러는 CPU 구조에 종속적인 언어입니다. 따라서 각 어셈블러마다
각 CPU 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 정보에 따라 CPU 의 명령(Instruction)을
배열하게 되지요. 모든 어셈블러는 대상이 되는 CPU 에 대한 정보를 똑같이 가지고
있게 됩니다. 따라서 NASM 이든 MASM 이든 GAS 이든... 문법상의 차이만 있을 뿐,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만 각 어셈블러마다 대상이 되는 CPU 가 차이가 있겠지요.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
문법상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어셈블러는 CPU 구조에 종속적인 언어입니다. 따라서 각 어셈블러마다
각 CPU 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 정보에 따라 CPU 의 명령(Instruction)을
배열하게 되지요. 모든 어셈블러는 대상이 되는 CPU 에 대한 정보를 똑같이 가지고
있게 됩니다. 따라서 NASM 이든 MASM 이든 GAS 이든... 문법상의 차이만 있을 뿐,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만 각 어셈블러마다 대상이 되는 CPU 가 차이가 있겠지요.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