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F8환경에서 EUC-KR환경 접속시 한글 문제.
글쓴이: 뿌직 / 작성시간: 수, 2006/12/20 - 10:43오전
안녕하세요..
눈팅 전문 회원 Qanii라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에 제 DesktopPC를 EUC-KR에서 UTF-8로 갈아 엎었습니다.
갈아 엎고 나서 생긴 문제가,
제 PC에서 원격 서버로 접속하면 한글이 깨진다는 것입니다.
원격 서버는 인코딩이 EUC-KR로 되어 있습니다.
그 원격 서버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UTF-8로 갈아 엎겠지만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것이라 그렇지는 못하네요...
제 터미널에서 한글이 깨지지 않고 잘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또 추가적으로 NFS도 마운트해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로컬 노드는 UTF8 환경이고 NFS로 마운트할 원격 노드는 EUC-KR인데,
이 경우에도 원격 노드를 NFS로 마운트 하면 마운트된 이하 디랙토리의 한글 파일이 전부 깨집니다.
마운트 옵션에 iocharset 옵션을 줘봤지만 NFS자체가 iocharset옵션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 어떤식으로 마운트 해야 한글 파일이 잘 보일련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의 PC환경은 Gentoo이며,
kernel 2.6.17-r8이고, nls_ut8, nls_cp949는 커널자체에서 활성화 시켰습니다.
터미널은 gnome-terminal 2.16.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Forums:
gnome-terminal~~
제가 기억하기로는 gnome-terminal의 메뉴에 보면
인코팅을 바꾸는 것이 있습니다.
해당 인코딩(euc-kr)로 바꾸시면 잘 보입니다 ^^
아
아 네~
감사합니다...
그렇군요....;;;;
복 받으실꺼예요~
--------------------------
`0-
-0`
--------------------------
`0-
-0`
그러고보니까 저 역시 비슷한 환경에서
그러고보니까 저 역시 비슷한 환경인데, 어떻게 설정을 했던 것인지 잘 기억이 안 납니다. 터미널에서의 문제는 윗분께서 말씀하신대로 메뉴에서 수정하구요.(자주 바꿔야 하는 경우에는 이것도 꽤나 불편하더라구요. ^^)
/etc/fstab에 보면 제 것의 설정에
장치이름 마운트위치 ntfs ro,nls=utf8,uid=nnnn,gid=nnnn 0 0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여기 uid와 gid에 nnnn부분에는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와 그룹 번호을 써 주면 됩니다. 저것을 안 쓰면 루트 소유로 인식 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것만 하면 되는 것인지는 모르지만 아마 맞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블로그: http://turtleforward.blogspot.com
samba로 원격 파일 마운트하는 것은
저도 gentoo에 utf-8환경을 쓰고 있습니다.
삼바로 원격 서버에 붙을 때 인코딩이 깨지는 것 때문에 좀 골치를 썩었었는데요, /etc/fstab을 아무리 고쳐도 제대로 안 먹히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다가 커널 옵션에서 samba쪽 보면 use default nls인가 하는 부 옵션이 있어서 그것을 켜고 nls의 기본 인코딩을 cp949로 잡았습니다. (원격 서버의 기본 인코딩을 잡는 부분이죠) fstab에서는 소유자와 마운트 권한 정도만 설정하고 nls는 안 건드렸습니다.
=================
잠못자는 한솔아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