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proc/meminfo에서 inactive의 의미??
Target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pthread가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는데,
한번 뜬 상태에서, 어떤 작업을 여러번 반복시키는 과정에서
한번 반복시마다 아래와 같이 free 메모리가 계속 줄고 있습니다.
cat /proc/meminfo해서 찍은 것인데, 반복할때마다 계속해서 이러한 추세로 free memory가 줄어드네요.
아마도 어딘가 memory leak이 있는 것일텐데...
MemFree는 계속 줄어들고,
Inactive는 계속 늘어나는데,
여기서 Inactive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1)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10665216 68964352 241700864 0 2256896 31387648
Swap: 0 0 0
MemTotal: 303384 kB
MemFree: 236036 kB
MemShared: 0 kB
Buffers: 2204 kB
Cached: 30652 kB
SwapCached: 0 kB
Active: 3644 kB
Inactive: 46576 kB
HighTotal: 0 kB
HighFree: 0 kB
LowTotal: 303384 kB
LowFree: 236036 kB
Node0Free: 37320 kB
Node1Free: 198716 kB
SwapTotal: 0 kB
SwapFree: 0 kB
(2)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10665216 71491584 239173632 0 2318336 31404032
Swap: 0 0 0
MemTotal: 303384 kB
MemFree: 233568 kB
MemShared: 0 kB
Buffers: 2264 kB
Cached: 30668 kB
SwapCached: 0 kB
Active: 3664 kB
Inactive: 49008 kB
HighTotal: 0 kB
HighFree: 0 kB
LowTotal: 303384 kB
LowFree: 233568 kB
Node0Free: 37280 kB
Node1Free: 196288 kB
SwapTotal: 0 kB
SwapFree: 0 kB
(3)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10665216 74190848 236474368 0 2359296 31395840
Swap: 0 0 0
MemTotal: 303384 kB
MemFree: 230932 kB
MemShared: 0 kB
Buffers: 2304 kB
Cached: 30660 kB
SwapCached: 0 kB
Active: 3640 kB
Inactive: 51648 kB
HighTotal: 0 kB
HighFree: 0 kB
LowTotal: 303384 kB
LowFree: 230932 kB
Node0Free: 37236 kB
Node1Free: 193696 kB
SwapTotal: 0 kB
SwapFree: 0 kB
(4)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10665216 76873728 233791488 0 2437120 31473664
Swap: 0 0 0
MemTotal: 303384 kB
MemFree: 228312 kB
MemShared: 0 kB
Buffers: 2380 kB
Cached: 30736 kB
SwapCached: 0 kB
Active: 3684 kB
Inactive: 54212 kB
HighTotal: 0 kB
HighFree: 0 kB
LowTotal: 303384 kB
LowFree: 228312 kB
Node0Free: 37188 kB
Node1Free: 191124 kB
SwapTotal: 0 kB
SwapFree: 0 kB
사용되는 page frame들은 LRU list에 등록되고...
/proc/meminfo에 있는 free는 현재 전혀 사용중이지 않는
page frame(보통 4KB)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non-free한 page frame들은
memory가 부족하면 바로 reclaiming(회수라고 번역하는 것이 적당한)
되는 page cache일 수도 있고
process page table에 등록된 page frame일 수 있습니다.
이것들 모두 LRU list에 등록됩니다. 또 그 리스트 안에서 이것들은 inactive와
active상태의 것으로 분류됩니다. inactive는 말 그대로 비활성화된
상태의 것으로서 memory reclaiming이 발생할 때 우선적인 reclaiming대상이
됩니다.
/***************************************
Being the one is just like being in love.
***************************************/
pthread
소스코드를 올려주신 관계로 어떤 문제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올려주신 내용에 memory leak이 맞다면
아마도 둘중 하나겠죠.
1) 코드 로직중 어딘가에서 할당받은 메모리를 해제하지 않은 경우
이 부분은 알아서 잘 찾아보시면 될것 같고...
2) pthread 사용 잘못
pthread_create() 를 사용하셔서 새로운 쓰레드를 만들면 쓰레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할당됩니다.
쓰레드가 종료됐을때 해당 공간을 반납해야 합고 반납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쓰레드가 동작하는동안 pthread_detach()를 이용해서 연결을 끊어버리면 쓰레드 종료 후 알아서 삭제되고.
둘째는. 쓰레드가 종료를 위해 pthread_join()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