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여기저기서 알아 봤는데 확실히 이해는 안갑니다.
의미가 비슷비슷해서 헤깔립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atime => access ; 접근한걸 말하는건데요, 아마 읽었을경우에
해당하는 거라 생각 됩니다.
-ctime => creation ; 화일의 속성에 변화가 있을경우에 해당하는
거구요. 퍼미션을 바꾸거나 내용 수정시..
-mtime modification ; 화일의 내용을 수정 했을때
해당 하는거 갔습니다.
소스를 수정한 화일을 찾으려면 -mtime 옵션을 -7과 사용하면 되겠군요
find 디렉토리 -mtime -7
-7은 7일보다 작음을 뜻하니까 6일전,5일전 .....1일전, 그리고 오늘
수정된 화일을 찾는 겁니다.
7은 딱 7일전에 수정한 화일만 해당하구요
+7은 당연히 7일 이상된 즉 8일전,9일전 ..... 부터 해당 되겠지요.
여기서 숫자는 단위가 하루(24시간)입니다.
그리고 man 페이지는 왠만한 영어 실력으로는 이해하는거
택도 없다고 생각 합니다.
이런데서도 영어가 아쉬운거보면 영어가 필수인거 같네요.
진작에 영어좀 배워 놀껄.....
김현수 wrote..
find 명령어의 man 페이지를 봤는데,
-ctime ,-atime, -mtime 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알고 싶습니다.
Re: find 명령어에서 -ctime -atime -mtime ?
저도 여기저기서 알아 봤는데 확실히 이해는 안갑니다.
의미가 비슷비슷해서 헤깔립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atime => access ; 접근한걸 말하는건데요, 아마 읽었을경우에
해당하는 거라 생각 됩니다.
-ctime => creation ; 화일의 속성에 변화가 있을경우에 해당하는
거구요. 퍼미션을 바꾸거나 내용 수정시..
-mtime modification ; 화일의 내용을 수정 했을때
해당 하는거 갔습니다.
소스를 수정한 화일을 찾으려면 -mtime 옵션을 -7과 사용하면 되겠군요
find 디렉토리 -mtime -7
-7은 7일보다 작음을 뜻하니까 6일전,5일전 .....1일전, 그리고 오늘
수정된 화일을 찾는 겁니다.
7은 딱 7일전에 수정한 화일만 해당하구요
+7은 당연히 7일 이상된 즉 8일전,9일전 ..... 부터 해당 되겠지요.
여기서 숫자는 단위가 하루(24시간)입니다.
그리고 man 페이지는 왠만한 영어 실력으로는 이해하는거
택도 없다고 생각 합니다.
이런데서도 영어가 아쉬운거보면 영어가 필수인거 같네요.
진작에 영어좀 배워 놀껄.....
김현수 wrote..
find 명령어의 man 페이지를 봤는데,
-ctime ,-atime, -mtime 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하고픈 것은 최근 7일간 수정된 소스
를 찾고 싶은 겁니다..
Re^2: 고맙습니다. 냉무 ^^
.
111
111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