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우분투 한글설정 및 패키지 설치위치 확인법
글쓴이: 김영재 / 작성시간: 금, 2006/10/06 - 10:08오후
우분투 초보입니다.
오늘 인터넷에서 최신버전(대퍼) 받아서 설치 후 네트웍까지 잡았구요.
한데 한글입력기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한글입력이 안되더군요.ㅠ_ㅠ
ubuntu.or.kr에서 관련글을 읽어봤는데, 개념이 안잡혀서 뭘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리눅스 쓴지는 오래되었지만 삽질하기 싫어서 한컴리눅스등만 써오다보니 기본적인 개념부터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쉽게 설명된 싸이트가 없을런지요? 간단한 내용이면 직접 설명해 주셔도 좋구요.^^
(한글입력기는 어떤 것을 쓰는게 좋을런지요? 저는 한/영 전환을 shift-space로 하는데 익숙해져 있어서
이것을 지원하는 입력기였으면 좋겠습니다.)
또 하나는 파이어폭스 이용해서 인터넷 서핑 중에 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가 없어서 그걸 설치하려고 했는데
설치 중에 파이어폭스 설치위치를 지정해야 되더군요. 그게 어딘지 잘 못찾겠더라구요.
꼭 파이어폭스 뿐만 아니라 설치된 패키지가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처음이지만 우분투 꽤나 맘에 듭니다. root계정 로그인이 안되는 점, gcc도 안깔려 있는 점이 꽤 이채롭고
처음엔 좀 당황스럽더군요. 한데 패키지 관리 방식이 편리함 그 자체더군요. 저같은 귀차니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겐 아주 잘맞는 듯 해요.^^
Forums:
1. scim이나 nabi 어느
1. scim이나 nabi 어느 것을 선택하시든 shift+space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설치는 ubuntu.or.kr을 참고하셔서 하시면 됩니다 :)
그런데 설치시 한국을 로케일로 설정하면 language-support-ko 패키지가 깔리고 한글 입력 환경도 알아서 설정된다고 ubuntu.or.kr 위키에 적혀있군요 :) 저도 따로 깔아준 기억이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2. 미디어플레이어라 -o- 어느 것을 설치하는건가요? mplayer나 totem이 firefox 플러그인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http://ubuntu.or.kr/wiki.php/RestrictedFormats#s-5.4 참고하세요 :)
설정 - 언어에 보면
설정 - 언어에 보면 한국어에 체크해서 확인 누르면 알아서 폰트, 입력기 다 설치됩니다.
그러면 끝!
정말 요즘 데스크탑 리눅스 대세는 우분투라고 할 정도이고, 그만큼 좋은 녀석입니다.
EMAIL : sudous@gmail.com
MSN : sudous@hanmail.net
NATEON : sudous@nate.com
BLOG : http://sudous.egloos.com
NABI 설치해 보세요.
제경우는 Ubuntu 6.0.6 LTS에서 기본적으로 SCIM이 설치되는데
집 컴 VMWare+Ubuntu에서는 잘 되는데,
회사 컴에서는 SCIM을 아무리 설치해도 IME 변경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알게된 NABI를 설치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설치된 패키지의 위치는 프로그램->추가/제거->고급에서 등록정보를 선택하시면
설치한 파일 탭에 설치된 위치가 나옵니다.
ctrl + space 를 누르면 한영 전환이 됩니다.
ctrl + space 를 누르면 한영 전환이 됩니다. 제대로 설치되어 있다면,
대퍼 설치시..
live CD로 부팅후 네트워크를 잡고 인스톨시 한국어로 설정하면
한글 관련 패키지를 다운 받아 자동 설치해줍니다.(한글입력기도 포함)
네트워크가 잡혀있지 않았을 경우는 랭귀지 관련 다운로드를 받지 못하여
기본으로 설치가 되더군요.
아~~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