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인코딩에 대한 질문
글쓴이: ratmhun / 작성시간: 수, 2006/07/26 - 12:45오후
한글 인코딩과 관련해서 알고 싶은데 하우투 문서의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간단하게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의 인코딩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euc-kr
utf-8
iso8859-1
iso10646
지금 상태인'C'로 표시되는 인코딩은 무엇인지요?
터미널에서 한글 입력기 때문에 utf-8을 사용해야 하지만 curse같은 텍스트 기반 그래픽 환경에서는 대화창이 모조리 깨져나오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다시 영어 로케일을 사용하고 싶을때는 그때그때 로케일을 변경할 수 밖에 없습니까?
Forums:
C는 Locale이
C는 Locale이 설정되지않을때의 Current이며 기본적으로 POSIX(=US-ASCII)와 같습니다.
아주 예전의 UTF-8환경의 사용자들은 구동시에 별도의 쉘스크립트를 만들어 그러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예를 들어 UTF-8환경에서 euckr기반의 mplayer같은 gtk어플을 구동할때는 "LANG=ko_KR.eucKR mplayer"를 alias나
혹은 별도 .sh script로 만들어사용하였습니다. 영어로케일이면 LANG=C mplayer 면 되겠지요.
터미널에서 혹시 vim으로 한글작업을 하신다면 set termencoding 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homeless
euc-kr와 utf-8는 한글
euc-kr와 utf-8는 한글 인코딩인데 최근에는 utf-8이 선호된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나머지 iso8859-1와 iso10646에 대해서 아시는 분 설명 부탁드립니다.
ISO8859-1은 US_ASCII하고
ISO8859-1은 US_ASCII하고 동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SO10646은 유니코드 인코딩인데 UTF8/16과 유사/동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xlsfonts 명령으로 폰트 리스트를 봤을때 ISO8859는 C, ksc5601/ksx1001은 EUC-KR, iso10646은 유니코드 폰트로 이해를 하고 있는데 대충은 맞더군요.
US ASCII는 7bit
US ASCII는 7bit 인코딩입니다.
ISO 8859는 유럽(?)의 문자를 표기하기 위한 8bit 인코딩입니다. ISO 8859-1 부터 8859-16까지, 8859-12를 빼면 열 다섯개의 표준이 있습니다.
ISO 10646은 유니코드 표준에서 사용되는 문자들을 정의한 국제 표준입니다. 유니코드 표준과는 별개입니다. 유니코드 표준에서는 문자의 결합방식이라거나도 추가로 다루고 있습니다.
ISO 10646은 캐릭터셋이고 이 문자를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를 결정한 것이 UTF-8, UTF-16, UCS-4 등의 인코딩입니다.
-----
ISO 8859의 첫 127글자와 UTF-8의 첫 127 글자와 US ASCII의 첫(?) 127 글자의 인코딩은 아마 모두 동일할 것입니다.
-----
정보출처는
http://en.wikipedia.org/wiki/ASCII
http://en.wikipedia.org/wiki/ISO/IEC_8859
http://en.wikipedia.org/wiki/Universal_Character_Set
http://en.wikipedia.org/wiki/UTF-8
아~ 캐릭터셋하고
아~ 캐릭터셋하고 인코딩하고 같은 거 아니었어요?
늘 같은 것은 아닙니다.
늘 같은 것은 아닙니다.
문자표의 번호순과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캐릭터셋이고 이 번호들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인코딩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캐릭터셋은 말 그대로 character set, 문자 집합이니까요.)
그렇다고는 해도 두 용어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캐릭터셋이라는 말이나 인코딩이라는 말을 보시면 어느 것에 대한 말인지 생각을 해보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