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라이센스의 프로그램을 회사에서 사용해도 되나요?

vudghkzm의 이미지

회사에서 사용하는 개인 pc 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라이센스를 꼼꼼히 읽어보고 설치하게 되는데요.(불법 소프트웨어 문제 때문에...)

예를 들어, 알X 같은 국산 프로그램은 "회사, 관공서 등에서 사용하려면 라이센스를 구입하시오" 라고 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편한데요. 외국 프리 웨어들 중에서 라이센스에 "for private non-commercial or educational use (including non-profit organization)" 라고 되어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회사 pc에 설치해두고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하네요.

hys545의 이미지

확실하진 앟은데
그런 건 집에서만 사용하는게 좋을겁니다.

즐린

dormael의 이미지

문자 그대로 보자면 쓰면 안될것 같네요.

Quote:

for private non-commercial or educational use (including non-profit organization

"educational use" 가 좀 헷갈리긴 하네요. 영리기관이라도 교육 목적으로는 써도 된다는 건가요?

그리고 관공서는 써도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거 영어로 되어 있으니 우기면 다 될지도. ㅋㅋ

-- Signature --
青い空大好き。
蒼井ソラもっと好き。
파란 하늘 너무 좋아.
아오이 소라 더좋아.

kslee80의 이미지

회사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commercial 목적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죠.

단지...
소프트웨어 단속 나오는 쪽에서는 국내에 진출해있는 메이져 업체의 소프트웨어를 제외하고는
신경을 안 쓰는듯 싶더군요.

mycluster의 이미지

educational use라는 항목은 글자 그대로 교육용입니다. 즉, 학생이 숙제를 제출하거나 리포트를 내고자
하는데 사용하도록 허가해준 것이죠. 이럴 경우 대학원 연구실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프로젝트 수행은 교육이 아니라 업무에 해당되므로 보통 academic license를 적용받지 못할 경우가
많습니다.

어쨌던 결론은 회사에서는 회사에서 사준 소프트웨어만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Freeware의 경우는
회사의 법무팀 혹은 소프트웨어 관리팀에 문의해서 확인을 받고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프로세스가 없는 회사의 경우에는 번거럽더라도
'프리웨어 등록 요청 -> 라이센스 확인 -> 사내사용소프트웨어 등록 -> 일반사용자설치'의 단계를 거치도록
회사의 업무프로세스를 만들어 두는 것이 나중에 문제가 없습니다.
괜히 혼자 깔아 썼다가 독박쓰면 회사에 손해 배상해야할 수도 있으니까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