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로 원격접속시에
글쓴이: yaru22 / 작성시간: 금, 2006/05/19 - 11:10오전
저희집에서 케이블모뎀으로 ISP에서 동적 IP 할당받아 쓰고 있는데요
그거를 라우터를 이용해서 컴퓨터 여러대서 인터넷을 공유하고 있거든요
컴퓨터중 한대는 리눅스 설치해서 서버(?) 처럼 쓰고 있는데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그 서버 컴퓨터 ip 가 192.168.2.xx 고
제가 쓰는 다른 컴퓨터 ip 가 192.168.2.oo 인데요
저희 집에서 쓸때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92.168.2.oo)로 서버 컴퓨터(192.168.2.xx)에 접속할때
ssh로 192.168.2.xx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더라고요. 이거는 그냥 집에서 접속하는 것이니 가능한 것일테고...
만약에 제가 집 밖에서 저 서버 컴퓨터 (192.168.2.xx) 로 접속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되죠?
라우터에 접속(이게 맞는 표현인가 ㅡ,.ㅡ)해서 ISP 에서 할당 받은 IP 보니깐 192.168.2.어쩌구가 아니고
72.137.4.zzz 이던데...
어떻게 서버컴퓨터로 접속할 수 있을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리고 192.어쩌구 저쩌구 ip를 뭐라고 부르죠?
제 친구도 라우터 써서 인터넷 공유하는 애한테 물어보니깐 ipconfig 로 체크했을때 ip 가 192.어쩌구로 나온다던데...
왜 다 192. 어쩌구로 시작하는거죠?
Forums:
192. 는 사설ip입니다
공유기에서 22번 포트를 포트포워드 설정해주고 외부에서는 공인ip로 접근하세요
-------------------------------------------------------------------------------
이 댓글(comment)의 수정 및 삭제를 위해 이 글에 답글(reply)을 쓰지 말아 주십시요.
의견이 있으시면 원 글에 댓글(comment)로 써 주세요.
192 는 내부 사설망 IP 입니다.
공유기를 사용하게 되면 공인 IP 1개를 가지고 여러 컴퓨터가 공유를 하게 되는데..
공유기에서 발급하는 IP 가 192... 뭐 이런식으로 발급하게 됩니다.
헌데 외부에서 공유기 안의 서버나 PC 를 볼수는 없습니다...
물론 설정을 변경하면 되는데요..
설정 변경 방법은 공유기 회사 마다 다릅니다.
DMZ 설정, 서버 설정, 포트포워딩 등
제일 쉬운건 내부 PC 하나를 공인 IP 로 설정하는 공유기가 있는데 그런걸 사용하면 되겠죠..
공유기 메뉴얼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