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2003 사용후 하드디스크 추가에 리눅스 멀티부팅하기에서 질문드림니다.
먼저 하드디스크(80G 삼성)에 파티션을 두개로 두었습니다.
20G : windows 2003 서버
60G : Data 디스크
그뒤 하드디스크(8G 후지쯔)를 추가한후 레드핫9.0을 깔기로 결심하고 자료를 찾은뒤 설치하기시작하였습니다.
레드핫 Enterprise 버전 설치시디로 부팅후 GUI 모드로 설치를 시작하였습니다.
파티션은 8G 에서 처음 7G를 루트(/) 로잡고 나머지 1G를 swap로 잡았습니다.
( 맨처음 깔때는 자동으로 하여 부트(100M) 루트(/,6900M) swap(1G) 로도 해보았슴)
부트로더는 리로를 깔았구요 멀티부트로더로 windows2003 껄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할때 문서에는
1. 리로를 MBR에 안깔고 부트파티션에 깐다
2. 리눅스 부팅후 dd if=/dev/hdd1 of=bootsect.lnx bs=512 count=1 로 부트섹터부분을
bootsect.lnx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것을 플로피를 이용해서 c:\(windows2003) 에 넣는다.
3. c:\boot.ini의 속성변경후 파일의 내용 맨 마지막에
c:\bootsect.lnx="Linux" 를 추가한다
이상이었는데요. 전 이방법을 그대로 할수가 없었습니다.
플로피가 없었거든요. 그래서 리눅스로 다시 부팅할수도 없었거니와 당연히 bootsect.lnx를 만들어와서
win32 시스템의 c:\에 복사해놓을수도 없었습니다. 다른방법을 강구한 끝에 편법을 썻습니다.
Win32용 dd 프로그램을 먼저 구하였습니다. 집이아니라 받은 장소는 링크를 못걸겠네요.
그래서 윈도우즈로 부팅후 "c:\>dd --list" 를 수행하여 리눅스가 깔려잇는 디스크0이 아닌 디스크1
의 파티션0에서 bootsect.lnx를 생성하였씁니다.
"c:>dd if=\\?\Drive\Harddiskvolume3 of=c:\bootsect.lnx bs=512 count=1"
대충 이런 식의 명령인데요.
처음에는 두번째 하드디스크의 파티션0번에서 512만큼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해보았는데
부팅이 아예 반응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싶어서 win32 dd 프로그램의 list 를 보니
저의 두번째 하드(8G) 의 파티션은 2개(루트,swap) 임에도 3개가 list 출력에 나오는걸보고
0번째 파티션은 다른목적이있는것 같아서 1번째로 if=.. 부분을 수정하여 다시 해보았습니다.
(0,1,2 이렇게 3개가 dd --list 에 출력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부팅하여 부트로더(NT 로더)에서 linux를 선택하여 부팅을 수행해보니
"L" 글자만 찍히는것입니다.
lilo오류에 대한걸 검색해보니 /boot/boot.b 의 파일을 읽을수 없어서 그런것 같은데요.
편법을 쓰지않고 플로피를 이용해서 했다면 제대로 되었을까요?
편법(win32용 dd) 를 사용하면 어떻게 다른지요.
여기에 이렇게 도움을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조언 부탁드리구요.
만약 방법을 못찾으면 loadlin을 이용할 생각인데요
그걸 이용하려면 vmlinux 파일을 c:\에 복사를 하여야합니다. win2003에선 리눅스 파티션을 인식못하니
win32용 ex2fs를 이용해 보았는데요 \등 디렉토리는 보여주는데 그 폴더의 파일을 출력하지 않아서
vmlinux를 복사를 못하겠습니다.
이것에 대한것도 좀 조언 부탁드려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 _ _)
우찌우찌해서 해결했습니다.
먼저 1번시디로 linux rescue 하여서 복구를 이용해 lilo를 새로 설정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BIOS drive 0x82 may not be accessible
란 경고문이 뜨더군요..
그제서야 아하 제가 두번째 하드디스크를 슬래이브로 잡았다는 실수를 알게되었네요
마스터로 잡고하니 잘 되는군요.
일단 해결은 했는데 저처럼 멀티부트 구성시 플로피 없이도 되니 참고하실분은
참고하셧으면 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