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명령어로 메모리 상태 볼때 DSIZE 값이 마이너스(-)인데...
글쓴이: jeeterm / 작성시간: 금, 2006/03/31 - 11:08오후
top 을 실행한 후에 f 키를 눌러 DSIZE 필드를 추가한 후이 보면 다믕과 같이
마이너스(-)값이 나오는데.. ( DSIZE= -123M)
//-----------------------------------
PID USER PRI NI TSIZE DSIZE SIZE TRS RSS SHARE D STAT %CPU %MEM TIME CPU COMMAND
24791 root 15 0 259 -123M 2464 232 2464 1308 99 S 0.0 0.9 0:00 0 jabberd
//--------------------------------
# man top 명령어로 보면
DSIZE : Data + Stack size. This is broken for ELF processes.
라구 나오네여..
"This is broken for ELF processes." 영어가 짧아..이 말이 무슨말인지..
모르겠는데..아시는분..코멘트 부탁..
암튼.. DSIZE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값이 줄어드네여..
즉.. -64M 로 됬어여..
혹시. DSIZE 값의 표시 원리가 뭔지 아시는 분 .. 알려주심 감사..
제 추측으로는 -MAX 값이 있어서..사용 함에 따라.. 0 으로 수렴 하는거 같은데..
맞나여?
Forums:
..
해당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데이터와 스택의 크기를 합한 값이군요
분명히 음수값이 나와서는 안되는 값 같습니다.
그러나, man에 의하면 해당 프로세스가 ELF 타입의 실행파일에서 생성된 경우에는 그 값이 깨진 값, 즉 이상한 값이 나올 수 있다는 군요.
아마도 보고계시는 프로세스의 실행파일이 ELF 형식인것 같습니다.
unix계열에서는 file 이라는 명령어로 원하는 파일의 형식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리눅스쪽에서는 해본적이 없어서.. ;;)
------------------
한글을 사랑합니다.
-----------------
한글을 사랑합니다.
# file t t: ELF 32-bit LSB
# file t
t: ELF 32-bit LSB executable, Intel 80386, version 1 (SYSV), for GNU/Linux 2.2.5, dynamically linked (uses shared libs), not stripped
lovian 님이 말씀하신대루 실행화일(t)를 file 명령어두 검사해보니 위와 같이 ELF 어저꾸 저쩌구 나오는데여..
Redhat 9 인데..
혹시 ELF 가 뭐의 약자이구 무슨 뜻인지 아시는 분 계시나여?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