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 그리고 가격...

이한길의 이미지

LOC로 무조건 가격을 책정하거나 생산성을 평가하는 것은 아닌지 알지만..
관련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물론 소프트웨어 공학쪽을 보면 되겠지만..
주로 실무에서 LOC가 어느정도로 적용이 되나요?

가격을 책정하거나 생산성을 평가하는 면에 있어서요...

어떤 정보처리기사 시험문제에 보면..
문제중에 프로그래머의 평균 생산성이 한달에 LOC가 500이라고 할때..
라는 말이 있더군요.

이건 좀 말이 안되는것 같구요...
실제 프로그래머가 일반적으로 어느정도의 생산성을 갖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작업마다 다르겠지만... 작업별로요..

codebank의 이미지

Line of code의 약자라면

http://blog.empas.com/ahnyounghoe/read.html?a=11114858
이쪽에 간단한 푸념(?)이 있네요.
http://www.pdmc.or.kr/webzine/200303/focus_%5B1%5D.htm
이건 S컨설턴트가 썼던 글이고요.(읽어보진 않았습니다. :))

제가 일했었던 분야는 줄당얼마하는 형태가 아니였기에 잘모르겠네요.
만일 라인당 단가를 매기는 형태라면 간단한 코드도 상당히 늘려쓸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예전에 100K(10K였나요?)코드를 만들었던것 처럼 무조건 늘리는 코드도 성행
했을듯하네요. :)
------------------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