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와 권력의 이동

geekforum의 이미지

아마도 30대 중반을 넘긴 나 같은 세대도 희미하게 느껴지는 사실을
새로운 세대가 인지하기를 기대한다는게 온당치 않다고 볼 수도 있는데,
사실 우리나라의 기업 문화에서 기술자들이 대접받는 시대는 극히 최근에야
가능하게 된 일이다.

사농공상의 뿌리 깊은 전통 앞에 기술자들은 아무리 그 기업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고 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자리에는 오를 수
없었으며, 회사(또는 기관)의 경영과 정책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극히
적었다.
이같은 구도는 공기업에 근무하는 본인에게는 오늘도 현실로 존재한다.

그렇다면 기술자들이 제 목소리를 내게된 시점은 언제부터일까?
이물음에 대한 답은 오로지 한국에서만 유효한데, 그것은 컴퓨터의 등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컴퓨터는 명백히 이전의 여타 기술과는 질적으로 틀렸다. 그것은 조선시대
선비의 전유물이었던 먹과 벼루, 그리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관리직\'의
전유물이었던 펜과 잉크를 원천적으로 대체한 것이었다.
단순히 도구로서의 대체가 아니라(이또한 매우 큰 변화이기도 하지만)
지식과 정보의 생산주체가 바뀌었던 것이다.

관리직은 더이상 정보를 생산 할 수 없게 되었다. 왜냐하면 누구도 상대적으로
빈약하며 불명료한 보고서를 보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는 그 변화의
시점에서 정점에 있는 최고 경영자의 금전적 능력에 대한 당연한 보상이었다.

이때부터 최고 경영자는 컴퓨터를 다루는 기술자를 단순한 기술자가 아닌
\'선비\'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게 되었다.
새로운 언어를 사용하고, 월등히 차별적인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며,
자기가 운영하는 공장을 때묻은 \'공장근로자\'의 파업으로부터 보호하고,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게하는 이 새로운 \'언어 마법사\'를 결코 소홀히 취급할 수 없게
되었다.

어려운 글을 쓰고(매우 매력적이다, 특히 한국인에게는), 그 결과로 녹을 먹는,
그리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위치로 이 \'컴퓨터 기술자\'들은 도약 할 수 있었다.
70년에서 80년대 후반까지, 전공에 관계없이 너나 할 것 없는 모든 \'이공계\' 학생
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 기술자들의 신분상승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었다.

하지만 90년대를 관통하면서 이 컴퓨터 기술자들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접하게
되었다. 그것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GUI화 된다는데 따른 필연적인 결과로,
아직까지 완전히 권력을 내주지 않은 \'관리자\'는 정말 호기를 만나게 되었는데
\'어려운 글\'을 쓰던 프로그래머가, \'장난같은 그림\'을 그리는 \'환쟁이\'로 재 인식
되면서 프로그램은 더이상 \'언어\'가 아니라 \'상품\'의 위치로 바뀌게 되었으며
컴퓨터 기술자들의 사회적 위치도 큰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언어가 가진 그 추상성 및 구체성, 그리고 인간 정신의 표상이라는 점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나리오가 잘 짜여지지않은 영화를 생각해보라! )
컴퓨터 기술자들은 그 언어의 영역을 손쉽게 원래의 \'관리자\'에게 내주었던 것이다.
<다음에 계속>

댓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시선한 시각을 열어 놓았네요 ~

다음글이 무척 기대됩니다 ~

toomanyid의 이미지

흠.. 궁금해집니다.
그럼 우리는 어떤 대안을 가져야 하는지......

기대 되는군요.

Happy Hacking

pinebud의 이미지

벌써 2000년에 남기신 글이군요 -_-;; 이미 최근의 세태는 단연 기술자는 3D업종으로 전락하는 분위기인것 같습니다. 가카께서 말씀하신것처럼 IT는 일자리를 줄이거나 일자리의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웹과 인터넷이라는 기술 덕분에 오픈소스나 GNU가 엄청나게 발전했지만 인터넷 좀 쓰는 사람은 누구나 product level의 라이브러리나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 처럼요. 특정분야의 3rd party 업체들도 많아지구요. 문제는 저같은 "기술자"들의 테크트리 같은데요. 제 경우에는 세일즈, 마케팅 혹은 커뮤니케이션에서 미래를 찾고 싶습니다. 휴대폰을 만드는 대기업만해도 이미 개발을 하는 사람들과 업체관리/머지하고 스펙비교하는 사람들이 반반정도는 되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남는 시간에 시장이 돌아가는 것에 조금만 관심을 가져도 경영이나 매니지먼트를 하는 분들보다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기술자 성공모델 10명"같은 책이 있었으면 하는 심정입니다. 또 최근의 세태에서 진짜 기술자들의 장점은 "정치"를 싫어한다는 점 같습니다.

A rose is a rose is a rose..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