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시스템에서 GUI 사용법에 대한 아주..멍청한 질문입니?
글쓴이: debian00 / 작성시간: 수, 2005/11/09 - 11:52오후
공부한지 얼마 안되서 멍청한 질문을 몇개 하겠습니다.
현재 실습하는 방법은 시리얼포트를 이용 minicom으로 접속해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임베디드 장비에 TinyX같은 X윈도우를 돌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냥 minicom에서 실행해면 작동하는지
궁금하고요. TinyX 같은 X윈도우즈 없이 GUI를 구현할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QT/Embedded에 관한 질문
인데요 QT/Embedded는 Qtopia로 배포되는 거 같던데
Qtopia는 X윈도우시스템과 GUI 개발툴로 이루어져 있는건가요?
몇가지 멍청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임베디드 장비에서 GUI를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공유해 주셨으면 감사합니다...
ps. 글쓴 후 안건데, Qt/E가 FB를 지원해주는 X윈도우플랫폼인가요?
ps2. 머리가 복잡합니다. 정확한 개념이 안잡혀서...
Forums:
잘은 모르지만...
tiny-x 는 x window 가 따로 필요할꺼에요. 아마.
이건 저도 찾아만 봐서, 잘은 모르구요.
Qt랑 QT/Embedded랑 Qtopia랑은 서로 다르구요.
Qtopia는 안 써 봐서 모르겠는데, 아마 개발 툴 아니면 환경일겁니다.
즉, QT만 있어도 개발은 가능하죠.
제 경우는, 호스트에 QT깔고, 프로그램 실행하고, 완성되면
QT embedded 로 다시 돌려봐서 에러 없으면 그대로 실행했죠.
Qt embedded 는 말씀 그대로 Frame buffer씁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_-;
저는 Nano-X (보통 microwindow 라고 하는것) 와 QT/E
저는 Nano-X (보통 microwindow 라고 하는것) 와 QT/E 를 써봤는데.
임베디드 장비를 어떤걸 쓰시든
그래픽을 담당하는 부분이 있을테고,
그 부분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코드가 있을겁니다.
프레임버퍼까지 들어가 있으면 좋고,
아니라고 해도
그래픽영역의 메모리를 잡고
거기에 컬러값을 써넣으면 그 점에 그 색이 칠해지는
그런 코드는 있을테니,
그걸 기반으로 프레임버퍼를 얹고
그 위에 Nano-X 든 QT/E 든 얹으면 됩니다.
QT/E 가 상용답게 훨씬 powerful 하지만
그냥 간단하게 얹어 쓰기에는 Nano-X 가 더 좋았지요.
Qtopia 는 들어보긴 했지만 뭔지도 몰라요.
개념없는 초딩들은 좋은 말로 할때 DC나 웃대가서 놀아라. 응?
Re: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GUI 사용법에 대한 아주..멍청한 질문
Tiny-X : X-Window 의 경량화 버전, 대충 1 Mbyte 내외정도?
FrameBuffer : 간단히 말하자면 고해상도 콘솔
참고로 일반적인 콘솔의 해상도는 640x480
글자로는 25라인에 80컬럼
Qt : 트롤텍이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총칭하여 일컽는 말. 어떤 플랫폼에서 실행되는가에 따라 여러가지로 세분됨
Qt/X11 : X-Window 용
Qt/Embedded : FrameBuffer 용
Qt/Mac : 매킨토시용
Qt/Win32 : Windows용
Qtopia : Qt/Embedded 에서 실행되도록 만든 응용 프로그램들의 집합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