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맙습니다.
/etc/pam.d/login/ 파일에서
auth ............ /lib/security/pam_securetty.so
라인을 주석처리하면 별다른 처리없이 바로 root로 telnet 로그인을 할
수 있네요.
결론은 telnet으로 root login을 하기 위해서는
/etc/securetty 파일을 없애거나
/etc/pam.d/login 파일에서 securetty 가 포함된 라인을 주석처리함으로
써 telnet이 이용하는 login이 securetty를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추신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에서는 /etc/securetty 파일의 내용을 편집해
서는 시스템 메뉴얼이 말한대로 되지 않더군요. 쩝.
정답은 아닙니다만...
RedHat 6.1이전까지는 telnet을 root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던것이 root(슈퍼유저)가 직접 telnet으로 치고 들어가는 것은 많은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들이 오고 갔죠.
(실제로 에뮬레이터로 login root를 넣고 Password에 임의로 마구마구 패스워드를
넣어서 뚫렸던것으로 알고 있죠.)
그래서 telnet으로 원천적으로 root가 접근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막고 Login도 3번
으로 제한(물론 몇 초후에 다시 Login이 가능하지만...)했던 것이죠.
그래서 그때까지 없던 질문이 이후에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아~ 이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한것이 아니고 제가 지켜본 결과를 그냥 나열한 것
입니다.
도움은 안되겠지만 약간의 의문이라도 풀렸으면 좋겠네요. ^^;
Re: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Re^2: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근데요 .. 질문이 그 설정을 어떻게 하냐는건데 ... 쩝.
우선은 간단하게 답을 찾았는데요 ...
/etc/securetty 파일을 없애니깐 root로 telnet 로그인이 되네요.
근데 ... 이런 설정이 언제부터 들어갔는지?
어디에서 root로 telnet 로그인을 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지 알고 싶습니
다. 제가 알아본바로는 telnet 데몬 자체에는 그런 기능이 없는 것 같던데
답변 기다립니다.
Re^3: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그렇담, /etc/securetty에 관련된 내용을 검색해보세요.
Re^4: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대체로 답변이 간단하군요 ... 쩝.
메뉴얼을 봤는데 .. 간단하더군요... 이런 것들은 제가 첨 질문을 올릴
때 이미 했던거라서 ...
그리고 kldp 문서에서도 옛날 이야기만 나오구 ... 그래서 질문을 올린건
데 ... 쩝.
더 자세한 사항을 알려주실 분을 모십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Re: Kernel 2.2.4 telnet으로 root login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일단 telnet root login과 kernel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telnet 사용은 위험하고 더욱이 root 로그인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대신 ssh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닿지 않는 로컬 네트웍에서 정말로 필요하다면 /etc/securetty 내용을 지우시던지,
/etc/pam.d/login 파일(배포본에 따라 다른 위치에 있을수 있습니다.)에서
다음과 같은 라인을 주석처리 해도 됩니다.
auth required /lib/security/pam_securetty.so
Re^2: Kernel 2.2.4 telnet으로 root login 어떻게 할 수 있나요
고맙습니다.
/etc/pam.d/login/ 파일에서
auth ............ /lib/security/pam_securetty.so
라인을 주석처리하면 별다른 처리없이 바로 root로 telnet 로그인을 할
수 있네요.
결론은 telnet으로 root login을 하기 위해서는
/etc/securetty 파일을 없애거나
/etc/pam.d/login 파일에서 securetty 가 포함된 라인을 주석처리함으로
써 telnet이 이용하는 login이 securetty를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추신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에서는 /etc/securetty 파일의 내용을 편집해
서는 시스템 메뉴얼이 말한대로 되지 않더군요. 쩝.
우쨌든,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쏴.
Re^5: 텔넷 설정에 관해 찾아보면 나온답니당....
정답은 아닙니다만...
RedHat 6.1이전까지는 telnet을 root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던것이 root(슈퍼유저)가 직접 telnet으로 치고 들어가는 것은 많은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들이 오고 갔죠.
(실제로 에뮬레이터로 login root를 넣고 Password에 임의로 마구마구 패스워드를
넣어서 뚫렸던것으로 알고 있죠.)
그래서 telnet으로 원천적으로 root가 접근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막고 Login도 3번
으로 제한(물론 몇 초후에 다시 Login이 가능하지만...)했던 것이죠.
그래서 그때까지 없던 질문이 이후에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아~ 이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한것이 아니고 제가 지켜본 결과를 그냥 나열한 것
입니다.
도움은 안되겠지만 약간의 의문이라도 풀렸으면 좋겠네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