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질문..
리눅스를 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는데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디폴트로 설치되거나 팩키지로 받아서 설치하는 커널 이미지는 어떤 옵션을 가지고 컴파일된것인가요?.. 그러니까 커널 소스를 받아서 configue설정할때 그냥 아무것도 건들지 않고 디폴트로 컴파일하면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널과 동일한 옵션의 커널이 생성됩니까?
현재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된 커널이미지를 생성할때의 옵션을 어떻게 알아내야 할까요?.. 제가 커널 이미지를 컴파일 하면 매번 커널패닉에 빠지더군요...=.=
2. 소스리스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소스리스트 파일에 서버를 쭈욱 적어주지 않습니까? 모든 팩키지가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만약에 다르게 설정된 의존성을 가진 서버를 동시에 적어주면 어떻게 됩니까? 그리고 우선순위는 위에 적은 서버부터 인가요?
그리고 팩키지시스템으로 설치하지 않고 직접 소스파일이나 바이너리를 받아서 설치한경우 의존성은 어떻게 유지시켜야 하나요?
만약에 자신이 직접설치했을경우 나중에 apt로 업그레이드 할수 있나요? 아니면 apt로 설치한것과 직접설치한것은 완전히 분리해서 관리해야 하나요?
3. 데비안 에치 x64를 설치하려는데 첫 재부팅후에 한글이 모두 깨져보여서 설치를 진행할수가 없습니다.. 영문으로 설정해서 설치하면 영어로 잘 나오기는 한데 이렇게 깔면 모든프로그램이 영문으로 깔리지 않을까요? 영문으로 설정한후에 한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법을 알고 싶습니다.
1.menuconfig나 xmenuconfig를 실행시키면 현재 커널 설
1.menuconfig나 xmenuconfig를 실행시키면 현재 커널 설정을 확인 할수 있을 겁니다.
2.만약 의존성이 맞지 않는 다면 그 패키지는 의존성 에러를 내면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다만 기본 커널이나 그런것일 경우 다른 배포판의 소스를 사용하게 되면 커널 패닉이 일어날수도 있습니다.우선순위는 업데이트하면서 버전순으로 바뀌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각 패키지마다 버전이 디비로 저장되면서 버전이 높은 쪽에 먼저 우선 순위가 가겠죠...
3.dpkg-reconfigure locales를 실행해서 언어 설정을 하신다음에 gdm등에서 한글을 설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그리고 다국어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는 한글을 설정하시면 메뉴가 한글 리소스가 존재하면 한글이 표시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물론 한글 리소스가 있고 언어 코드가 맞는 경우에 아니면 옵션에 보면 한글 설정이 있지 않을까합니다.그리고 언어마다 설치 패키지가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Re: 몇가지 질문..
다른 배포본은 잘 모르겠지만 데비안이나 우분투의 경우 커널이미지를 설치하면 설정(config) 파일도 함께 설치됩니다.
예를 들면 /boot/config-2.6.12-9-686 이런 식의 이름이죠. 커널 버젼과 동일합니다. 이 파일을 /usr/src/linux 디렉토리에 복사한 후 make menuconfig 한 설정 화면에서 설정 불러오기를 하면 됩니다.
-----
http://monpetit.posterous.com/
http://monpetit.tistory.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