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 씨디를 넣습니다.
2. 언어 선택 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설치 화면에서 ESC키를 누릅니다.
3. GRUB 부트로더 설치 섹션으로 들어갑니다.
4. 파티션 관리자가 뜨면 마운트 포인트와 파일시스템 종류만 지정하고 넘어갑니다.
5. 그럽 설치 화면이 뜹니다.
6. 에러가 나면 그 단계에서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1. 1번 시디를 넣고 시디 부팅합니다.
2. 리눅스 설치 화면이 나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Quote:
vmlinuz root=/dev/hdax
위에 /dev/hdax는 리눅스 루트 파티션의 위치입니다. 즉 hda2번이라면, /dev/hda2 라고 입력하셔야 합니다. 모른다면 1번부터 쭉 넣어서 노가다로 확인하시는 수 밖에....
3. 2번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커널이 로드될 것입니다. 커널이 올바로 띄워졌다면,
일단 그건 쉽습니다. 그런데 어떤 배포판을 쓰셨나요?우분투 기준으
일단 그건 쉽습니다. 그런데 어떤 배포판을 쓰셨나요?
우분투 기준으로 하면 이렇게 됩니다.
1. 설치 씨디를 넣습니다.
2. 언어 선택 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설치 화면에서 ESC키를 누릅니다.
3. GRUB 부트로더 설치 섹션으로 들어갑니다.
4. 파티션 관리자가 뜨면 마운트 포인트와 파일시스템 종류만 지정하고 넘어갑니다.
5. 그럽 설치 화면이 뜹니다.
6. 에러가 나면 그 단계에서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다른 배포판이라면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레뎃 9.0 입니다..ㅠ.ㅠ
기회는 노력하는자의 특권이다.
Re: ㅠㅠ
게시판을 Grub and 복구로 검색해보세요...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레뎃 9.0이라면,
1. 1번 시디를 넣고 시디 부팅합니다.
2. 리눅스 설치 화면이 나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위에 /dev/hdax는 리눅스 루트 파티션의 위치입니다. 즉 hda2번이라면, /dev/hda2 라고 입력하셔야 합니다. 모른다면 1번부터 쭉 넣어서 노가다로 확인하시는 수 밖에....
3. 2번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커널이 로드될 것입니다. 커널이 올바로 띄워졌다면,
이렇게 입력하시면 /dev/hda 에 grub이 설치될 것입니다.
헉
vmlinuz root=/dev/hda1
치고 들어간후
kernel panic : VFS: Unable to mount root fs on 03:01
이상태에서 다운되버리네요..
뭐가 문제인걸까요..;
기회는 노력하는자의 특권이다.
Re: 헉
/dev/hda1 이 root 디렉토리가 아니기 때문일겁니다. hda2 이상 계속 넣어보셔야 할듯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