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고 딱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이유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어떻게 지역화(localization, L12N)되었는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A라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성되어 있었다면, LANG이 영어로 되어 있더라도, LC_MESSAGES가 한글로 되어 있으면, 출력 메시지가 한글로 나올 겁니다. 만약 제대로 작성되어 있지 않다면 LC_MESSAGES가 한글이더라도 LANG이 영어로 되어 있으면 영어로 나올 겁니다.
한글 입력기 (Nabi 등)는 보통 LANG이 한글이 아닐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전에 따라 다름). 이 경우 한글 입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시는 것이 한글 입력은 가능케하고, 기타 메시지를 영어로 보는 것이라면 LANG은 한글로 (ko, ko_KR, ko_KR.euckr, ko_KR.utf-8 등) 설정해 놓고, LC_MESSAGE를 영어로 (C, POSIX, en, en_US, en_US.utf-8 등)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뭐라고 딱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이유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어떻게 지역화(localization, L12N)되었는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A라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성되어 있었다면, LANG이 영어로 되어 있더라도,
한글 입력기 (Nabi 등)는 보통 LANG이 한글이 아닐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전에 따라 다름). 이 경우 한글 입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시는 것이 한글 입력은 가능케하고, 기타 메시지를 영어로 보는 것이라면 LANG은 한글로 (ko, ko_KR, ko_KR.euckr, ko_KR.utf-8 등) 설정해 놓고, LC_MESSAGE를 영어로 (C, POSIX, en, en_US, en_US.utf-8 등)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 입력기에 관한 제 설명은 오래된 지식이므로 다른 분들이 더 답변해 주실 겁니다.
제대로 만들면 영어로 설정하면 영어로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한글로 나오는게 제대로 안만든겁니더ㅏ.
뭐라고 딱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이유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어떻게 지역화
뭐라고 딱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이유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어떻게 지역화(localization, L12N)되었는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A라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성되어 있었다면, LANG이 영어로 되어 있더라도, LC_MESSAGES가 한글로 되어 있으면, 출력 메시지가 한글로 나올 겁니다. 만약 제대로 작성되어 있지 않다면 LC_MESSAGES가 한글이더라도 LANG이 영어로 되어 있으면 영어로 나올 겁니다.
한글 입력기 (Nabi 등)는 보통 LANG이 한글이 아닐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전에 따라 다름). 이 경우 한글 입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시는 것이 한글 입력은 가능케하고, 기타 메시지를 영어로 보는 것이라면 LANG은 한글로 (ko, ko_KR, ko_KR.euckr, ko_KR.utf-8 등) 설정해 놓고, LC_MESSAGE를 영어로 (C, POSIX, en, en_US, en_US.utf-8 등)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 입력기에 관한 제 설명은 오래된 지식이므로 다른 분들이 더 답변해 주실 겁니다.
C FAQ: http://www.eskimo.com/~scs/C-faq/top.html
Korean Ver: http://cinsk.github.io/cfaqs/
추가로, locale을 "로케일"로 발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추가로, locale을 "로케일"로 발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로-우(짧게)-컬(길게)"로 발음합니다.
locale 명령을 쓰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 환경 변수 (LANG과 LC_로 시작하는 모든 변수)에 대한 의미는 다음 명령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C FAQ: http://www.eskimo.com/~scs/C-faq/top.html
Korean Ver: http://cinsk.github.io/cfaqs/
아 답변 감사드립니다.이제 님 덕분에 개념은 잡혔는데요..정작
아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제 님 덕분에 개념은 잡혔는데요..
정작.. locale을 LC_ LANG이런것들은 어디에
설정을 해주여 할지를 모르겠네요..
우분투환경에서 gdm / gnome을 쓰고 있습니다.
게시판을 검색해봐서..
.xsession에 넣어봐도 안되었고요..
.gnomerc에서도 안되고..
마지막으로 /etc/environment에 넣어봐도 안되네요..
[quote="cinsk"]뭐라고 딱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이유가, 프로
제대로 만들면 영어로 설정하면 영어로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한글로 나오는게 제대로 안만든겁니더ㅏ.
즐린
[quote="kimes"]아 답변 감사드립니다.이제 님 덕분에 개념
~/.bashrc같은데 집어넣으세여
즐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