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ftpd 설정에 관한 질문입니다.
글쓴이: zz181321 / 작성시간: 화, 2005/06/21 - 1:22오전
/etc/vsftpd.conf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하고,
anonymous_enable=YES local_enable=NO write_enable=NO anon_upload_enable=NO anon_mkdir_write_enable=NO anon_other_write_enable=NO anon_world_readable_only=YES connect_from_port_20=YES hide_ids=YES pasv_min_port=50000 pasv_max_port=60000 xferlog_enable=YES ls_recurse_enable=NO ascii_download_enable=NO async_abor_enable=YES one_process_model=YES idle_session_timeout=120 data_connection_timeout=300 accept_timeout=60 connect_timeout=60 anon_max_rate=50000
/etc/xinetd.d/의 vsftpd파일을
service ftp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vsftpd server_args = /etc/vsftpd/vsftpd.conf per_source = 5 instances = 200 no_access = 192.168.1.3 banner_fail = /etc/vsftpd.busy_banner log_on_success += PID HOST DURATION log_on_failure += HOST }
라고 했습니다. (즉 샘플 파일의 인터넷 사이트 모드 설정입니다)
/etc/init.d/vsftpd start 라고 하면
* /etc/vsftpd/vsftpd.conf must contain background=YES and either
* listen=YES or listen_ipv6=YES (but not both)
* in order to start vsftpd from /etc/init.d/vsftpd
라고 뜹니다.
/etc/sbin/vsftpd 를 직접 실행하면
500 OOPS: vsftpd: not configured for standalone, must be started from inetd
라고 뜨고요. 그래서 xinetd를 먼저 실행 시켜봐도 전혀 달라지는게 없더군요 ;
그렇다고 vsftpd.conf에 background=YES와 listen=YES를 넣자니,
메뉴얼 보면 이건 standalone이라더군요.
스탠드얼론 모드면, 이건 xinetd를 사용하는게 아니라서 보안상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지요...?
아니면 문제가 없지만, 있다면 어떻게 xinetd와 붙어서 돌아갈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Forums:
standalone모드는 서비스 요청이 있던 없던 항상 해당 데몬이 떠
standalone모드는 서비스 요청이 있던 없던 항상 해당 데몬이 떠 있는 방식입니다. (x)inetd모드는 (x)inetd 데몬이 서비스 요청이 있을때만 해당 데몬을 띄웁니다.
기억하기로는 standalone모드는 데몬이 항상 떠 있으므로 시스템 자원을 그만큼 더 사용하고, (x)inetd 방식은 요청이 있을때만 데몬을 띄우므로 자원 사용이 그만큼 더 유연합니다.
그러나 요즘 서버들 사양을 생각했을때 둘 다 별 차이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이게 맞는진 모르겠는데 (예전에 본 문서라) (x)inetd방식으로 데몬을 운용할 경우 해당 데몬은 루트 권한으로 돌아갑니다. 즉 해당 데몬이 뚫릴 경우 크래커는 루트 권한을 획득하게 되는거죠. (그래서) standalone모드를 추천합니다. (이게 아니라면 대략 낭패!!)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새로운 국면입니다
한 가지 알아 낸게 있습니다.
xinetd start를 했을 때,
netstat -an | grep :21 이라고 해보면,
tcp 0 0 0.0.0.0:21 0.0.0.0:* LISTEN
라고 나오더군요.
이것은 이미 ftp 서비스가 시작 된게 아닌지요...?
다만 주소가 0 0 0 0이라서 외부에서 접속 못하는것 일까요?
이 현상은 대체 뭔지요 ;;
0.0.0.0은 anywhere입니다.21번 포트(ftp)가 열려있다
0.0.0.0은 anywhere입니다.
21번 포트(ftp)가 열려있다면 한번 접속을 시도해보세요.
참, (x)inetd로 돌리려면 /etc/services 파일(맞나?)에 먼저 포트가 선언되어야 합니다.
해당 파일에 21번 포트가 혹시 주석처리 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해보세요.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