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코요테 리눅스에서 정적IP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십니까, 몇번에 걸친 삽질끝에 질문을 올립니다.
회사에서 방화벽을 설치할려고 하는데, 뭐 port정도만 막는 수준이라서
코요테리눅스를 설치할려고 합니다. 남는 컴퓨터도 있고해서,
그런데, 이거 설치가 쉽지가 않네요.
[Local Access Network]--[HUB]-[coyote Linux(firewall)]--[Internet(switch)]
이거 text로 그림을 그릴려고 하니까, 방향이 우에서 좌로 반대로 그려야 하네요.
Internet은 1개로 라인이고
Local Access Network은 대략 30, 40대정도의 데스크탑입니다.
그런데, 모두 고정I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HUB를 두어서 IP를 분배하고 있습니다. (분배라고 하기는 좀 그렇네요.)
아직 coyote Linux를 설치하지는 않고 일단 아래와 같은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Local Access Network]-------------+--[HUB]--[Internet(switch)]
[Computer]--[HUB]--[coyote Linux]--+
그런데, coyote Linux에서 DHCP를 설정하면,
하부의 computer에서 잘 동작하는데,
이전의 고정IP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정확한 설정방법을 모르겠네요.
windows creation wizard 2.16.0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있는데,
step 1에서 이런저런 설정을 해보아도 통신이 되지 않습니다.
아직 방화벽설정은 하지않은 상황이고 먼저 통신이 되어야 하는데
외부 네트워크로 접근이 되지않습니다.(WWW가 되지않습니다.)
인터넷을 찾아보아도 대부분은 동적IP(DHCP)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이 되어있지,
이렇게 정적IP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로 설명이 없고,
configure file을 설정을 삽질을 통해 바꾸어 보아도 별로 성과가 없습니다.
혹 이런 환경에서 coyote Linux로 방화벽을 설치해 보신 분이 있으시면
많은 도움을 바라겠습니다.
도움이 될지 모르겠고, 이미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http://oops.
도움이 될지 모르겠고, 이미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http://oops.org/?t=lecture&sb=firewall&n=1 를 한번 보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