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하드 공유?
글쓴이: o17zo7 / 작성시간: 토, 2005/04/30 - 1:23오전
현재 제 컴퓨터 파티션을
hda1: windows xp
hda2: swap
hda3: ubuntu linux
hda5: 각종 data 백업(fat32)
이렇게 나눠서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안에는 vmware를 깔고 windows2000을 깔아놨구요.
근데 문제는 아시다시피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이트들이 윈도우만 지원하기 때문에
다운받을 일이 있을 때는 vmware를 써서 받아야 하는 것이지요.
문제는 다운 받은 후입니다.
예를 들어 파워포인트 파일을 하나 받았을 경우 이걸 리눅스로 가져와서 볼 수가 없네요.
vmware의 윈도우에서 받은 파일을 위에서 말한 데이터 백업용 파티션으로 옮겨서 리눅스에서 열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설정을 해줘야 할지 모르겠네요.
vmware를 아무리 찾아봐도 이런 메뉴는 못찾겠더군요.
아예 없는 건가요? 아니면 제가 못찾은 걸까요?
만약 이런 메뉴가 없다면 어떤 설정을 해서 이렇게 쓸 수 있을까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부탁드려요.
Forums:
윈도우에서는 vmware tools깔고나면 HostOS 와 GuestOS
윈도우에서는 vmware tools깔고나면 HostOS 와 GuestOS 간에 클립보드도 공유되고, 파일도 드랙드랍이 되더군요.
리눅스에서도 가능할지는 모르겠구요.
조금 번거로울지는 몰라도 네트웍으로 카피하시는게 우선 당장은 속편하지 않을까합니다.
^^;;
음.. 확실히 윈도우에서는 share folder라는게 있었습니다...
음.. 확실히 윈도우에서는 share folder라는게 있었습니다...
여차하면 삼바 깔고 네트웍으로 공유폴더를 만들어 파일을 교환해도 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에뮬레이트 되는 os라고 해도 하나의 독립된 머신으로 인식하니까요.
여담입니다만.. 윈도우에서 vmware로 리눅스 깔고 거기에 apm깐 다음에 윈도우에서 다시 vmware로 억세스해서 웹페이지를 볼 수 있다는게 굉장히 신기했었습니다. ㅎㅎ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공유 폴더를 이용하는것이 가장 편합니다. 억세스 계정 하나 만들어두고,
공유 폴더를 이용하는것이 가장 편합니다. 억세스 계정 하나 만들어두고, 삼바를 이용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
그걸로 웹호스팅 서비스 하는분 봤습니다.. 스터디용이었다지만;; -_-;;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