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op으로 어떤 프로세스가 그런 짓을 하는지 왜 그런 일이 생기는지 살펴본다.
2. 만일 syslog와 같은 로거에 연결된 프로세스면 해당 로그파일을 본다.
그외 잡다한 모니터링 방법은 수세 리눅스 9.3 어드민 가이드 VI의 모니터링 부분을 살펴보세요(아무 리눅스나 대부분 해당사항 있습니다). 또, IBM Redpaper 'Tuning SuSE Linux Enterprise Server...'의 Chapter2 tuning tools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제목은 수세지만 대부분의 리눅스에 해당사항 있습니다)
1. top으로 어떤 프로세스가 그런 짓을 하는지 왜 그런 일이 생기는지
1. top으로 어떤 프로세스가 그런 짓을 하는지 왜 그런 일이 생기는지 살펴본다.
2. 만일 syslog와 같은 로거에 연결된 프로세스면 해당 로그파일을 본다.
그외 잡다한 모니터링 방법은 수세 리눅스 9.3 어드민 가이드 VI의 모니터링 부분을 살펴보세요(아무 리눅스나 대부분 해당사항 있습니다). 또, IBM Redpaper 'Tuning SuSE Linux Enterprise Server...'의 Chapter2 tuning tools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제목은 수세지만 대부분의 리눅스에 해당사항 있습니다)
[quote="Anonymous"]...수세 리눅스 9.3 어드민 가이드
IV :(
redhat 에도 좋은 문서 있습니다.
절대 딴지는 아닙니다?
http://www.redhat.com/docs/manuals/enterprise/RHEL-4-Manual/admin-guide/
꽤 괜챦은 문서입니다.
vmstat과 top 을 잘 활용 하시면 파악 되실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reiserfs가 아닌가요? 그놈이 그렇게 작동하던데...
혹시 reiserfs가 아닌가요? 그놈이 그렇게 작동하던데...
좋은 자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iserfs가 맞습니다. 아마도
좋은 자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reiserfs가 맞습니다. 아마도 저널링이란 것을 하고 있나 보죠?
흠.. 나름대로 심사 숙고해서 고른 파일시스템인데 엉뚱한 데서 괴롭히는 군요.
top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줄 모르고 있었는데 정말 유용해 보입니다.
건축과 다니면서 프로그램 공부하는 이상한 사람;;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