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를 호출하고 tv_usec 값을 출력해보면 대개 -1.XXXXXX 형태의 숫자값으로 나옵니다. 이 숫자값이 뜻하는게 정확히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값은 변경이 불가능한가요? 예를 들어서 b = tv_usec; 로 b에 값을 배정 받았을 때 b = b*1000; 이라고 해도 b의 값은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도와주세요..ㅠㅠ
함수를 호출하고 tv_usec 값을 출력해보면 대개 -1.XXXXXX 형태의 숫자값으로 나옵니다. 이 숫자값이 뜻하는게 정확히 무엇인가요?
어떻게 찍으셨기에? tv_usec 값은 Linux에서는 long int형입니다. 혹시 long int를 %f로 찍으신 건 아니시죠?
0<= tv_usec < 1,000,000 인 정수입니다. 즉, 0~999,999인 정수값을 유효숫자로 합니다.
1) 0은 0 micro second 2) 999,999 = 999,999 micro second = 0.999999초(second) 3) 500,000 = 0.5초 ...
초로 환산하려면 백만(1,000,000)으로 나눠야 겠지요. 당근.
코딩에서 실수가 있었네요.. :oops: 그런데..
int A(){ struct timeval mytime;
gettimeofday(&mytime,NULL); return mytime.tv_usec; }
int a,b;
a = A(); b = A();
위와같이 A를 두번 호출했을때 a,b가 갖게되는 값의 의미는 뭔가요? gettimeofday 호출을 통해서 프로그램 수행시간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리턴되는 값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cry:
음 위와 같이 구하면 아니되옵니다. 연산하는데 시간을 구하려면, 보통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gettimeofday(&tv1, NULL); // 무엇인가? 연산하는 프로그램. ... gettimeofday(&tv2, NULL); dt = (tv2.tv_sec-tv1.tv_sec)*1000000+(tv2.tv_usec-tv1.tv_usec);
dt = (tv2.tv_sec-tv1.tv_sec)*1000000+(tv2.tv_usec-tv1.tv_usec); dt = (tv2.tv_sec-tv1.tv_sec)+(tv2.tv_usec-tv1.tv_usec)*1000000;
에구, 보통 연산(처리,프로세싱, 응답시간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때 사용하지요. 특정 연산시작하기전 시간구하고, 끝난 직후 시간을 구해 빼서, 그 차이로 얼마의 시간이 걸렸나?를 구하는데 사용됩니다. elapsed time이라고 보통 부르지요?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Re: gettimeofday 함수 질문입니다
어떻게 찍으셨기에? tv_usec 값은 Linux에서는 long int형입니다. 혹시 long int를 %f로 찍으신 건 아니시죠?
0<= tv_usec < 1,000,000 인 정수입니다.
0<= tv_usec < 1,000,000 인 정수입니다.
즉, 0~999,999인 정수값을 유효숫자로 합니다.
1) 0은 0 micro second
2) 999,999 = 999,999 micro second = 0.999999초(second)
3) 500,000 = 0.5초
...
초로 환산하려면 백만(1,000,000)으로 나눠야 겠지요. 당근.
초로 환산하려면 백만(1,000,000)으로 나눠야 겠지요. 당근.
코딩에서 실수가 있었네요.. :oops: 그런데..int A()
코딩에서 실수가 있었네요.. :oops: 그런데..
int A(){
struct timeval mytime;
gettimeofday(&mytime,NULL);
return mytime.tv_usec;
}
int a,b;
a = A();
b = A();
위와같이 A를 두번 호출했을때 a,b가 갖게되는 값의 의미는 뭔가요? gettimeofday 호출을 통해서 프로그램 수행시간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리턴되는 값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cry:
음 위와 같이 구하면 아니되옵니다.연산하는데 시간을 구하려면, 보통
음 위와 같이 구하면 아니되옵니다.
연산하는데 시간을 구하려면, 보통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dt =
dt = (tv2.tv_sec-tv1.tv_sec)*1000000+(tv2.tv_usec-tv1.tv_usec);
dt = (tv2.tv_sec-tv1.tv_sec)+(tv2.tv_usec-tv1.tv_usec)*1000000;
에구, 보통 연산(처리,프로세싱, 응답시간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
에구, 보통 연산(처리,프로세싱, 응답시간등)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때
사용하지요.
특정 연산시작하기전 시간구하고, 끝난 직후 시간을 구해 빼서, 그 차이로
얼마의 시간이 걸렸나?를 구하는데 사용됩니다.
elapsed time이라고 보통 부르지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