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시리얼통신에 관하여...
시리얼 통신을 처음 접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usleep을 이용한 수신데이타----------------
RX>= 80
RX>= 81
RX>= 80
RX>= 01 94 75 CB
RX>= 80
RX>= 01 95 00 00 7F AC
RX>= 80
RX>= 01 97 00 00 1B 43
RX>= 01 97 00 00 C7 19
RX>= 01 98 00 00 00 53
RX>= 80
RX>= 01 99 00 00 DC 09
---------------------------------------------
보통 [프로토콜버전][메시지길이][데이타 1~n][CRC]
이런 형식을 많이 사용하는거로 알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수신되는 메시지에는 특별한 메시지 포맷이 없습니다.
전송되는 메시지 길이도 가변적이고...
80이나 81은 제프로그램이 살아있는지 주기적으로 수신되구요.
긴 메시지는 ... 예를 들어 01 99 00 00 DC 09
01은 제 프로그램 일련번호
99는 명령어
00 00 은 데이터
DC 09는 CRC입니다.
메시지 파싱을 어떻게 할까 고민중에
read_cnt = read( _iFD, &received, 1)
while( read_cnt > 0 )
{
if( received >= 0x80)
{
//응답 메시지 보냄
}
else
{
do
{
usleep(1)
_recvBuf[ _idx++ ] = received;
read_cnt = read( _iFD, &received, 1 );
}while(read_cnt > 0)
//for문을 사용해 배열내용 출력
_idx = 0;
}
}
위 코드처럼 처리를 했습니다. 그런데 usleep함수를 빼면 아래처럼 데이타가 나뉘어서 수신됩니다. 왜 그런건가요? 위 코드처럼 usleep을 사용해서 코딩해도 되나요?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usleep을 뺀 결과--------------
RX <= 0x01 0x99
RX <= 0x 0
RX <= 0x 0
RX <= 0xDC
RX <= 0x 9
------------------------------------------
usleep(1) 이나, sleep()등을 위와 같이 프로그램 동기화의
usleep(1) 이나, sleep()등을 위와 같이 프로그램 동기화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틀린 사용입니다.
usleep(1)의 효과는 스케쥴러를 호출하게 하여 컨텍스트 스위칭을 유발하고,
1us만큼 쉬고 다시 컨텍스트 스위칭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다린 효과입니다.
만일, 현재 개발하고 있는 장비보다 훨씬 빠르거나, 느리거나, 등 외부 변수가 있는
환경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면 현재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오해가 있을까봐 다시 말씀드리면, usleep()을 넣고 돌려도 또는 usleep()에 값을 1이나 다른 값으로 변경해도, usleep()을 뺀 코드처럼 나올 수도 있다는 얘기지요.
해결책은 버퍼링을 하세요. 그리고, 그 버퍼를 들여다 보고, 처리할 만큼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처리하는 식으로 처리하십시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