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코딩용 컴퓨터를 하나 맞추려고 합니다.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조언이 필요해서 쓰레드를 올립니다.
이번에 코딩용 컴퓨터를 하나 맞출려고 하는데
예산은 70-80만원정도 예상하고 있구요...
코딩용이라서 그래도 개발자 분들께 조언을 구해보고 부품을 선택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요.
우선 생각하는 사양정도는 NBA 2005를 돌릴수 있고 코딩이 가능하고(자바나 아니면 닷넷 프레임워크 그리고 C코딩도 퍼포먼스 좋게 그리고 거의 일반적인 표준...) 일단 어느 정도라면 무리 없이 할수 있는지 이제 갖 초보라서 그렇고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모니터 만약 가격이 절충 이 된다면 17인치 LCD로 하고 만약 안된다고 하면 19인치 CRT라도 상관없을 것 같구요
많은 조언과 그리고 좋은 컴퓨터 가게 도 추천 부탁 드립니다.
이번에 맞출때는 씨피유하고 보드에 신경써서 할까 생각중입니다.
답변 주시는 분께 미리 감사드립니다.^0^

siabard의 이미지

코딩용이고 앞으로 64비트 쪽을 공부하고 싶다면 AMD-64쪽이 좋을듯 싶습니다.

CPU는 AMD 3000+나 3200+정도하시고..
메인보드는 재고성이지만 요즘 저가에서 유행하는 K8M800...
VGA는 철지났지만 이전 가격대 성능비 최고라는 ATI 9550
램은 512~1기가정도...
하드는 80기가에서.. 120기가도 가능하구요..
기타 등등 나머지(케이스 + 파워 공급장치, ODD, 플로피)는 잡비입니다. 어차피 요즘 보드에 랜 기능이나 사운드(5.1채널이상)은 기본이니까요..
모니터는 CRT로 하시면 70 정도에 맞출수있고 LCD하신다면 17인치중에서 약간 저렴한 것 쓰시면 80까지도 무난하게 다 맞출 수 있습니다.
발품 팔수있다면 60대에 가능할 수도 있구요..
LCD의 경우 게임에 약간 잔상이 생긴다고하지만 노트북으로 스타해본경험에 본다면야 개인적인 선호가 중요하겠지만 그냥 해볼만합니다. 사실 약간 잔상있긴합니다만 저는 조금 막눈이라서..

개인적으로 저는 30만원주고 산 셈프론(AMD죠.. 32bit) 2200+에 엄청나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비록 비디오 카드는 지포스 2지만 원하는 게임은 다 되더군요. ^^; (참고로 풀셋입니다. ODD야 CD였고.. 하드 40기가에 불과했지만 할 거 다 하고 있거든요. 훗훗훗...)

새로움을 느끼기에 삶은 즐겁다..
모험가 아돌 크리스틴을 꿈꾸며..
Sia..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만약 AMD 3000+로 생각하고 있는데 뉴캐슬로 할것이냐 아니면 윈체스터로 할것인지 고민입니다.
한번 사면 2-3년은 사용해야 할것 같은데..
2-3년후에 업그레이드를 할것인지 아니면 새로 구입할것인지 그거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느쪽이 좋은가요...?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siabard의 이미지

대세는 윈체스터죠.. 발열, 소모전력등등 면에서 뉴캐슬보다 좋고.. 메모리 듀얼채널 구성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좋습니다. 벤치사이트에서 AMD포럼란 살펴보세요.. 뉴캐슬, 윈체스터 어느 쪽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보드나 비디오카드 세팅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새로움을 느끼기에 삶은 즐겁다..
모험가 아돌 크리스틴을 꿈꾸며..
Sia..

hiseob의 이미지

뉴캐슬 -> 싱글채널 + AGP
윈체스터 -> 듀얼채널 + PCI-Express

logout의 이미지

darkschutepen wrote:
만약 AMD 3000+로 생각하고 있는데 뉴캐슬로 할것이냐 아니면 윈체스터로 할것인지 고민입니다.
한번 사면 2-3년은 사용해야 할것 같은데..
2-3년후에 업그레이드를 할것인지 아니면 새로 구입할것인지 그거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느쪽이 좋은가요...?

컴퓨터야 거의 항상 2년에서 3년 정도가 업그레이드 주기인 것 같습니다. 그 기간이 지나고 나면 업하셔도 좋고 새로 만들어도 좋겠지만 요즘 분위기는 피씨가 가전제품화되는 경향이 있으니 그때쯤 통째 팔아버리고 새로 또 구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죠. 다만, 하나 신경쓸 부분은 아직까지 64비트 하드웨어가 제대로 자리를 잡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오래전에 386 하드웨어에 윈도우즈 3.1을 돌릴 때랑 비슷하다고 할까요... 결국 쓸만한 32비트 오에스가 나왔을 때 즈음에는 (오에스투, 리눅스 초기 버전, 윈도우즈 95(!)) 386은 지나치게 느려서 32비트 오에스를 쓰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었습니다.

제 경우는 지금 쓰고 있는 아이북이 올해 겨울쯤이면 쓴지 3년이 되는데... 올 겨울쯤이면 저도 업그레이드 주기가 다가 오겠네요. 그냥 귀차니즘에 계속 아이북에 맥 오에스텐을 쓰고 있는데... 그때쯤 지름신이 강림하지 않으면 느린 하드웨어 활용을 위해서라도 리눅스를 깔아 쓰고 있지 않을까... 하는 잡생각을 해 봅니다.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조언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neoprog의 이미지

메인보드에서 지원가능한 cpu를 보구 결정하세요.

윈체스터로 몇년 쓰다고 나중에 cpu만 바꾸심, 업그레이드
비용 얼마 안할 듯..
중간에 CPU만 바꿔서 근 5년동안 쓰고 있답니다.
(AMD 듀론--->AMD XP) :lol:

질문하나,

Quote:
윈체스터 -> 듀얼채널 + PCI-Express

PCI-Express 지원 메인도드에서
기존에 쓰던 AGP 그래픽 카드를 사용 할 수는 없습니까?

나는오리의 이미지

neoprog wrote:
메인보드에서 지원가능한 cpu를 보구 결정하세요.

윈체스터로 몇년 쓰다고 나중에 cpu만 바꾸심, 업그레이드
비용 얼마 안할 듯..
중간에 CPU만 바꿔서 근 5년동안 쓰고 있답니다.
(AMD 듀론--->AMD XP) :lol:

질문하나,

Quote:
윈체스터 -> 듀얼채널 + PCI-Express

PCI-Express 지원 메인도드에서
기존에 쓰던 AGP 그래픽 카드를 사용 할 수는 없습니까?

AGP용 보드를 따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저 그런데 혹시 자주 가시는 컴퓨터 가게 있으시면 좀 가르쳐 주세요 온라인상으로 할려니까 제 예산보다 엄청 차이나서요 ㅠ0ㅠ;;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codebank의 이미지

온라인이 오히려 싼걸로 알고 있는데요?
컴퓨터 가게를 가도 그리 싼가격으로 주지는 않습니다.
도매를하는곳일지라도 가게쪽으로만 싼가격으로 제품을 넘겨주고 일반인에게는
상가 유통가격을 받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잘 아는 사람이가도 싸게준다고 하면서도 +a는 항상있는법이니까요.

------------------------------
좋은 하루 되세요.

김정태의 이미지

코딩용으로 쓰실려면 세부적인 장비를 지정해 드릴수는 없지만
일단 화면 관련해서 큰 기준을 잡는다면,

첫째, 넓은 화면(높은 해상도)쪽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작은
화면으로 코딩을 하는 분들도 많으시지만, 화면이 크면 클수록
개발자의 불필요한 화면 이동이나 전환 때문에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데, 적지 않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장기간 화면을 쳐다 보아야 하기 때문에 CRT 모니터
보다는 LCD 쪽의 모니터가 눈의 피로를 상대적으로 많이
줄여줍니다. 구지 역동적인 게임을 돌리지 않을 예정이라면
화면 움직임시의 잔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이쪽이 더 좋지
않나 생각됩니다.

컴파일시의 시간 압박까지 생각하신다면 GPU보다는 CPU쪽에
투자를 많이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