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설치 후 부팅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글쓴이: vudghkzm / 작성시간: 수, 2005/03/16 - 6:26오후
내장형 하드 1개와 외장형 하드(USB 연결) 1개가 있습니다.
내장형 하드에는 윈도우즈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장형 하드에 리눅스를 설치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트 로더 입니다. 저는 내장형 하드에 리눅스가 전혀 관여하지 않았으면 하거든요. 그런데 만약 MBR 영역을 건드리게 된다면 현재는 내장형 하드를 건드리게 됩니다. 따라서 혹시나 내장형 하드에 윈도우즈를 새로 까는 경우게 생기게 되면 윈도우즈가 다시 MBR 영역을 건드리기 때문에 외장형 하드에 설치되어 있는 리눅스로도 부팅을 할 수 있게 하려면 별도로 뭔가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겠지요..
이런 불편을 없애고 싶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내장형 하드에는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고 외장형 하드에 리눅스를 깔아서 사용하고 싶다는 거지요.
일반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요?
부트로더 설치시에 플로피 디스크에 설치하면 되는지요? 아니면 외장형 하드만으로 뭔가 해결이 가능한지요?
참고로 메인보드가 USB 외장형 하드의 부팅을 지원합니다.(외장형 하드에 윈도우즈를 깔아서 테스트 해보니 부팅이 되더군요.)
Forums:
질문 하신 내용속에 다 답이 있습니다.부트로더를 플로피에 설치하셔
질문 하신 내용속에 다 답이 있습니다.
부트로더를 플로피에 설치하셔도 되고
- 그런데, 요즘 나오는 플로피는 예전 것에 비해서 꽤 약한 것 같습니다. 새것 사서 몇번 쓰지도 않았는데, 배드 섹터 나더니 일주일쯤 지나니깐 아예 못 읽게 되더군요. 한 10년전쯤 전에 산 SKC 는 멀쩡한데 말이죠.
아예 부팅 자체를 외장형 하드로 하셔도 됩니다.
- 리눅스가 USB 외장형 하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들어갈지는 좀 다른 문젭니다. 배포판 마다 조금씩 다르거든요. 일단 리눅스가 USB 외장형 하드에서 잘 돌아간다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저는 테스트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USB 메모리에 리눅스 올려서 쓰시는 분들도 있는 걸로 봐서는 별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게 불안하거나 하면 아예 시스템 커맨더 등의 윈도용 멀티 부팅 프로그램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좀 비쌉니다.)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