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외장형 하드 디스크에 수세 리눅스 9.2 FTP 설치는 되는데
사연은 이렇습니다.
제 피씨에는 현재 내장형(IDE 방식)하드 디스크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윈도우즈 2000을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를 사용할 일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기존에 사용하던 윈도우즈와 완전히 별개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USB 방식의 외장형 하드를 물려서 여기에다가 수세 리눅스 9.2 ftp 버전의 mini install 씨디를 구해다가 설치했더랬습니다. 그래서 우선 메인보드 바이오스 상에 들어가서 내장형 하드 디스크에 대한 억세스를 NONE 상태로 만든 후에 수세 씨디를 넣고 설치를 시작했습니다
.
우선 네트웍 카드, USB 장치, 파일 시스템에 관한 모듈을 로딩한 후 네트웍을 통해서 설치를 했습니다.(mini install 이니까요)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 상황을 체크하는 환경에서 하드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더군요. 거기에 보니까 내장형 하드는 hda, USB 하드는 sda 로 인식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hda 는 건드리지 않고, sda를 프라이머리 파티션 sda1과 확장 파티션 sda5로 나누고, sda5는 다시 2개의 논리 파티션으로 나웠습니다. sda1은 윈도우즈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끔 FAT 방식으로 설정하고 포맷은 하지 않았습니다. 2개의 논리 파티션 중 하나는 / 에 마운트 시킬 것이여서 ext3 형식으로 지정했습니다. 나머지 하나의 논리 파티션은 swap 으로 잡았구요.
파티션 설정이 끝난 후엔 부트로더 옵션을 건드렸습니다. 기본은 GRUB를 설치하며 MBR 영역에 덮어쓰는 거로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저는 sda 에 MBR 이 아닌 sda에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했습니다.
이렇게 설정이 끝난 후 패키지 설치에 들어갔습니다. 패키지 설치부분에 관해서는 어떠한 변경도 가하지 않았으며 기본 설정대로 설치를 했습니다.
설치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재부팅을 했습니다. 물론 씨디를 빼고, 바이오스에서 내장형 하드에 대한 접근을 NONE으로 만든 후, 부팅 순서중 가장 첫번째에 USB 외장 하드를 위치시킨후 부팅을 했죠. 근데 커서(_)만 모니터의 가장 왼쪽 상단에 깜빡일 뿐 반응을 보이지 않더군요. 부팅이 안되는 것이지요.(외장형 하드에 윈도우즈를 깔고 테스트해본 결과 윈도우즈는 부팅이 되더군요.)
윈도우즈는 되고 리눅스는 안된다는 게 잘 이해가 안가지만...어쨌든 2번이나 똑같이 시도해봤는데 부팅이 안되더라구요.
이와 같은 경우 원인은 무엇이며, 해결책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이 될만한 글이 있네요..
http://bbs.kldp.org/viewtopic.php?t=53167
답이 아니더라도, 해결방법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