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OS X 와 리눅스 ?
글쓴이: jhwang2u / 작성시간: 목, 2005/01/13 - 1:39오후
막연한 질문입니다 하도궁금한게 많습니다. 여기다 올려도 되는지?
리눅스를 하며 힘들었던점이 생각납니다.
usb 저장장치는 과연 어떻게 마운트할까
궁금하다가 겨우 문서보고 힘들게 알아냈습니다.
게시판을 보다가 xmms 한글파일이 깨져서 설정바꿔야하는것도
나오고..어떤곳에 가니 realplayer 한글 자막지원하지않아서
설정바꾸는것도 나오고
정말 너무 어렵네요..
궁금한점은요..
맥 os x 도 이렇게 복잡할까요?
친구집가서 한번 맥을 써본적이 있는데
리눅스에다가 x윈도우만 '맥'인 기분이 났습니다.
usb 저장장치 넣으니 바로 인식되고. 한글도 척척되고
정말 좋았습니다.
근데 mpalyer 처럼 맥에서도 컴파일하여 실행한다면
한글이 깨질까요?
맥도 리눅스 처럼 설정..등이 복잡할까요?
맥 미니 가 나와서 정말 관심이 가는군요.
괜히 맥 쓰다가 리눅스 적응안되는것은 아닌지요?
Forums:
맥은 USB나 아니면 파이어와이어기반의 저장장치를 꼽으면 바로 바탕화면에
맥은 USB나 아니면 파이어와이어기반의 저장장치를 꼽으면 바로 바탕화면에 마운트된 디바이스가 나타납니다.그리고 USB기반은 안되지만 파이어와이어 기반의 저장장치는 부팅도 가능합니다.
맥은 조금만 배우면 쉽습니다.플레이어 종류에 따라서 한글 깨지는거는 있습니다.ㅡㅡ;;
설정은 보통 그게 맞는 GUI가 있으니까 리눅스보다는 훨씬 쉽다고 봐야 할것입니다.퍼퍽~~~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quote="darkschutepen"]맥은 USB나 아니면 파이어와이
요새 리눅스 배포판들은 거의 다 제대로만 설정하면 hot plug 를 지원합니다. 페도라 같은 경우는 USB 를 꽂으면 바로 체크해서 마운트 시켜줍니다.
설정도 당연히 GUI 가 있지요. 물론 자세한 세부설정이야 직접 텍스트 에디터로 때려 넣는 게 편하기는 합니다.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http://wiki.kldp.org/wiki.php/ProjectUto
http://wiki.kldp.org/wiki.php/ProjectUtopia
참고하세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