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의 없는 질문일지 모르지만요
rc.d
가 무슨 의미 인가요? (약어, 줄임말 또는 이니셜)
뒤에 d는 데몬 같기도 하고...
그리고 mingetty 는 무슨 의미 일까요?
뭐 get terminal 같은데...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너무 초보라 ^^;;
tty는 전보(teletype)를 의미합니다. 터미널이라는 것이 생기기 전에는 원격 사용자는 전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기기를 통해 컴퓨터에 접속했습니다. 터미널을 그래서 "glass teletype"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getty는 터미널이나 teletype등을 통한 접속을 기다리는 역할을 합니다. Get teletype죠.
mingetty는 getty를 간략하게 (minimalistically) 구현한 프로그램입니다.
rc는 'run command'의 약어로 알고 있습니다.
아닐수도 있구요. ^^;;
..
방금 구글링을 해서 알아본건데
여러가지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던데 ('Run Control', 'Resource Configuration', ...)
'Run Command'가 제일 맞는말 같네요..
ps. '어의'가 아니라 '어이'아닌가요? ^^; '어의'는 허준같은 사람을... 쿨럭..
============================== 꿈꾸는소년
덧붙여서..
구글링해서 얻은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history/269939
덧붙여서.. 구글링해서 얻은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history/269939
Yeah - one of those 'lost in the mists of time' things. Others will say 'Run Control', 'Resource Configuration', whatever. It's all Really Cryptic.
:lol:
No Pain, No Gain.
resource configuration에 한표~^^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김을 메지요. 구름이 꼬인다 갈리있소. 새들의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강냉이가 익거든 와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
Runlevel Configuration 이것도 그럴듯하군요.
세벌 https://sebuls.blogspot.kr/
.d 는 디렉토리 일겁니다. cron.d pam.d logrotate.d
rc system 문서를 보면 d는 데몬이 맞는거 갖고 rc는 run command 가 가장 적합한것 같습니다. rc가 먼저 생기고 rc(runlevel).d 라는것이 후에 생긴것으로 파악이 되거든요.
------식은이 처------ 길이 끝나는 저기엔 아무 것도 없어요. 희망이고 나발이고 아무 것도 없어.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tty는 전보(teletype)를 의미합니다. 터미널이라는 것이 생기기
tty는 전보(teletype)를 의미합니다. 터미널이라는 것이 생기기 전에는 원격 사용자는 전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기기를 통해 컴퓨터에 접속했습니다. 터미널을 그래서 "glass teletype"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getty는 터미널이나 teletype등을 통한 접속을 기다리는 역할을 합니다. Get teletype죠.
mingetty는 getty를 간략하게 (minimalistically) 구현한 프로그램입니다.
rc는 'run command'의 약어로 알고 있습니다. 아닐수도
rc는 'run command'의 약어로 알고 있습니다.
아닐수도 있구요. ^^;;
..
방금 구글링을 해서 알아본건데
여러가지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던데 ('Run Control', 'Resource Configuration', ...)
'Run Command'가 제일 맞는말 같네요..
ps. '어의'가 아니라 '어이'아닌가요? ^^;
'어의'는 허준같은 사람을... 쿨럭..
==============================
꿈꾸는소년
덧붙여서..구글링해서 얻은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ht
덧붙여서..
구글링해서 얻은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history/269939
==============================
꿈꾸는소년
[quote="leeas00"]덧붙여서..구글링해서 얻은 자료
Yeah - one of those 'lost in the mists of time' things. Others will say 'Run Control', 'Resource Configuration', whatever. It's all Really Cryptic.
:lol:
No Pain, No Gain.
resource configuration에 한표~^^
resource configuration에 한표~^^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김을 메지요.
구름이 꼬인다 갈리있소. 새들의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강냉이가 익거든 와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
Runlevel Configuration 이것도 그럴듯하군요.ht
Runlevel Configuration 이것도 그럴듯하군요.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history/269939
세벌 https://sebuls.blogspot.kr/
Re: 어의 없는 질문 ^^; rc.d ??
.d 는 디렉토리 일겁니다.
cron.d
pam.d
logrotate.d
rc system 문서를 보면 d는 데몬이 맞는거 갖고rc는 run
rc system 문서를 보면 d는 데몬이 맞는거 갖고
rc는 run command 가 가장 적합한것 같습니다.
rc가 먼저 생기고 rc(runlevel).d 라는것이 후에 생긴것으로 파악이 되거든요.
------식은이 처------
길이 끝나는 저기엔 아무 것도 없어요. 희망이고 나발이고 아무 것도 없어.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