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널 2.6에서 SIGSEGV 발생시 SIGKILL 오는 문제
글쓴이: chonbj / 작성시간: 화, 2004/11/09 - 6:58오후
안녕하세요.
고수님들께 도움 부탁 드립니다.
제가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서버 프로그램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문제는 보통 메인쓰레드를 제외한 모든 쓰레드들은 시그널을 받지 않는 상태로 대기하고 메인 쓰레드만이 시그널 대기 상태로 하고 모든 시그널은 메인쓰레드에서 예외처리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그렇게 구현을 해 왔었구요.
근데 이번에 커널 2.6 에서 테스트를 해본결과 SIGSEGV 발생시 메인쓰레드는 시그널 SIGSEGV를 받지 않고 바로 SIGKILL을 받아서 죽어 버립니다.
커널 관련 사이트들을 찾아보니 NPTL 과 관련이 있는 거 같기는 한데 정확한 원인을 몰라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고수님들,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를 해야하는지 가르켜 주세요...
Forums: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좀 더 필요할듯 한데요...
우선, 질문하신것을 봤을 때 다음과 같은 의문이 생깁니다.
1. 2.6이전 커널의 버젼에서는 문제가 없으셨다는 말인지요?
2. 실제 signal 선언, 처리 부분의 샘플을 올려주시면 확인하기 더 편할듯 싶구요.
3. 질문에서 언급하신 SIGSEGV만이 문제가 되는것인지, 아님 다른 시그널들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지가 궁금하네요.
답은 못드리고 ^^ 죄송합니다.
** Inside Of Inside By Forman
먼저 답변 감사 드립니다.1. 2.6이전 커널의 버젼에서는 문제가
먼저 답변 감사 드립니다.
1. 2.6이전 커널의 버젼에서는 문제가 없으셨다는 말인지요?
=> 이부분에 대해서는 커널 2.4 버전에서는 전혀 문제없이 동작을 하였습니다.
2. 실제 signal 선언, 처리 부분의 샘플을 올려주시면 확인하기 더 편할듯 싶구요.
=> 제가 외부에 나와 있어 소스는 못 올리구요...순서를 말씀 드리면..
모든 시그널 블럭 => 쓰레드 생성 => 시그널 예외처리를 위한 일부 시그널 대기 상태로 재설정( SIGSEGV 등 ) => 메인쓰레드 에서 signal 대기 => SIGSEGV 발생시 모든 쓰레드 종료 후 데이터 백업 후 프로세서 종료
이렇게 작업을 하였습니다.
3. 질문에서 언급하신 SIGSEGV만이 문제가 되는것인지, 아님 다른 시그널들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지가 궁금하네요.
=> 일단 프로그램 수행 중 목적하지 않은 의도로 프로세서가 죽게 되는 경우는 SIGSEGV 일 경우라 임의로 발생하여 처리를 하였습니다.. 아마 테스트는 해보지 않았지만 모든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SIGKILL 이 확실한가요?
제가 알기로 SIGKILL은
강제로 발생시키지 않는 이상 발생하지 않는 걸로 압니다만.
1부터 대략 30번까지의 시그날만이라도 ..핸들링 걸어두면..
정확히 어떤 시그날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을 겁니다.
일단은 어떤 시그날인지 확인하는게 우선 같네요.
시스템이 linuxthread package를 쓰도록 되어있는듯합니다
시스템이 linuxthread package를 쓰도록 되어있는듯
합니다.
kernel 2.6에서는 NPTL을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그걸로 바꾸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