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다시깔게 되었는데요, 옛날 ftp서버에서 쓰던 파일들을
글쓴이: cyborg007 / 작성시간: 월, 2004/10/18 - 1:18오전
리눅스로 ftp서버를 돌리고있구요, 하드가 2개입니다.
한개는 리눅스를 깔았구요, 한개는 자료를 모아두었습니다.
갑자기 정전으로 인해서 리눅스에 에러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다시 깔았구요..
그런데요.. 예전 업로드 해두었던 자료들(즉 자료하드의 자료들)을 다시 이용하고싶습니다.
초보라서 잘 모르겠어요...복귀법을 찾아보긴 했는데 영 답이 안나오네요..알려주세요.
제 생각으론, 새로운 계정을 만들고, 그 계정의 시작 번지를 자료서버의 폴더로 지정해주어야 할거 같은데요..아직 기본 개념이 부족해서 시작을 못하겠습니다.
지금은 리눅스를 새로 깔고(와우리눅7.2 paran R2) 자료 하드를 붙여놓은것 까지 진도가 나가있습니다. ftp접속은 되구요(새로운 계정으로)핑도 나오고요, 이제 자료 복구만 남았습니다.
알고싶은것.
1. 세컨드 슬레이브로 자료하드가 잡혀있는데요, (hdd) 윈도우즈에서와같은 D:개념을 잘 모르겠습니다. 그 자료들을 확인해보고싶은데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예) D:\game\starcratf.exe (이파일이 잘 있나 확인같은거요).
2. 계정을 새로 만들어서, ftp로 접속했을때 hdd하드(자료있는곳)로 바로 연결되도록 하는법을 알려주세요.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
Forums:
1. 유닉스는 드라이브 개념이 없습니다.모든 것이 /로 시작됩니
1. 유닉스는 드라이브 개념이 없습니다.
모든 것이 /로 시작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하드디스크가 추가되면,
마운트라는 작업을 통해 특정한 디렉토리에 묶게 됩니다.
예를 들면,
/dev/hdd1 (세컨더리 슬레이브의 첫파티션)
을 /mnt/data라는 디렉토리에
mount /dev/hdd1 /mnt/data라는 명령으로
마운트를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럼 game/starcraft.exe파일의 위치는
/mnt/data/game/starcraft.exe가 됩니다.
만약 /home/foo/bar에 마운트를 했다면...
/home/foo/bar/game/starcraft.exe로 위치하게 되죠...
2. 계정을 새로만들어서 hdd로 바로 접속되게 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위의 방식처럼 mount를 특정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하는 겁니다.
예를 들면 ftpman이라는 계정이 있고..
/home/ftpman이 홈디렉토리라면,
mount /dev/hdd1 /home/ftpman
그럼 ftpman은 바로 hdd로 접속하게 됩니다.
다른 방법은 정석적인 방법인데...
ftp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계정을 추가할 때...
useradd "ftp계정" -d "hdd가 마운트가 된 디렉토리" -M -s /bin/false
로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만약 anonymous 익명계정을 사용하실 경우에는
ftp 데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해당 배포본에 포함된 ftp의 설명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와우 파란일 경우라면
hdd를 /var/ftp 나 /var/ftp/pub 정도에
마운트를 하고 hdd의 디렉토리,파일 소유권정도만 바꿔 준다면
바로 익명계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