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가 쓰고 싶다가 말다가... ㅡㅡ;
이넘의 것이 배포판에 따라 지 맘대로다보니깐 머리아프네요...
특별이 아플것도 없는거 같긴 한데 제 머리가 둔하다보니깐.,,
예전에 젠투 잘 썼었습니다..
하다보니 업데이트를 안하고 써서 후에 할려고 했더니 너무 많더군요..
컴파일 시간의 압박에 그냥 포기하고 쓰다가 귀찮아서...
패도라로 바꿨습니다..
이거 잘 쓰고 있었습니다.. 1쓰다가 2나와서 업그래이드도 하고..
패키지는 apt-get을 사용해서 잘 해결하고 있었습니다.
사이사이 데비안을 시도해봤지만 이넘의 것은 좀 어렵더군요..
그래서 그냥 말았습니다..
오늘 수세,, 토발즈도 쓴다는 수세를 깔아봤습니다.
예전에 학교 도서관 갔다가 심심해서 리눅스 저스트 포 펀을 읽다보니깐,,
그 글 쓸때 당시 회사에서는 레드햇, 집에서는 수세를 쓴다던가.. 하더군요..
깔았는데.. 이넘의것이 무엇부터 해야 할지 당췌~모르겠습니다.
일덴 기본 데스크탑이 KDE여서 짜증이 나기 시작했는데.. 캥거루도 애러내고
안떠버립니다.. 우왕~ 짜증,, 근데 이건 괜찮은데..
패키지 관리를 apt-get으론가 뭔가 할 수 있을것 같아서 찾다보니깐,,
apt4rpm이라는게 있더라구요.. 그래서 쓸라구 받았는데...
rpm이 설치가 안되네요..
그놈을 쓰고 싶은데 수세에서 rpm으로 패키징 해놓은거...
하났씩 다 받아다가 설치할 수도 없고..
뭔가 패키지 관리 툴이 필요할 것 같은데...
다시한번 데비안을 시도해볼까 싶어집니다...
아,, 마지막으로 그래서 다시 패도라 가서 글 올릴려고 하는데..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되는겁니다.. 잘 됐었는데.. 에궁~
그래서 지금은 윈도우즈로 부팅해서 글 씁니다... ㅡㅡ;
쓰고 싶다 말다 하네요...
한번쯤 여러 종류의 배포판을 접해보는 것도 좋긴하지만 그냥 익숙한 배포판
한번쯤 여러 종류의 배포판을 접해보는 것도 좋긴하지만 그냥 익숙한 배포판을 쓰는 게 아무래도 속편하지요. 저는 예전에 데비안을 한 번 써보려고 했었는데 X에서 마우스 커서가 깨져나와서 고치기도 귀찮고 그냥 멀어져버렸습니다. 이젠 이것저것 설치하기도 귀찮고... 데스크탑은 Fedora Core 2/Windows 2000 Pro, 서버는 NetBSD로 씁니다.
마음에 꼭 들게 하려면 직접 배포판을 만들어야죠. :D 전 배포
마음에 꼭 들게 하려면 직접 배포판을 만들어야죠. :D
전 배포판에 적응하려고 노력합니다. 어차피 선택의 여지가 없던 원도에서도 잘 살았었는데.......
+++ 여기부터는 서명입니다. +++
국가 기구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세금만을 내고, 전체 인민들이 균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착취가 없는 혁명의 그날은 언제나 올 것인가!
-- 조정래, <태백산맥> 중에서, 1986년
마음에 드는 배포판이 없죠.데비안 기반 배포판 유저인데, 한번 사용을
마음에 드는 배포판이 없죠.
데비안 기반 배포판 유저인데, 한번 사용을 권해 봅니다.
기본으로 그놈 2.8이 들어있고요, KDE도 원하면 인터넷을 통해서 apt-get 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리눅스(www.ubuntulinux.org)라는 겁니다.
저도 슬렉, 페도라, 수세, 데비안(오리지널), 비프, 솔라리스 같은 것 조금씩 깔아서 사용해 보고 하드 파티션을 뒤집기도 하면서 찡하게 끌리는 배포판이 없을까 찾아봤는데, 결국, 이 우분투 리눅스에서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그 이유중 하나는 데스탑을 위한 배포판이다보니 기본 설정은 다 되어 있고요,
나머지는 여느 배포판과 비슷하지만 어느 것보다도 최신버전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데다가 데비안의 GNU/LINUX 지향이기 때문입니다.
즉 데스크탑 지향이면서 최신버전인게 없을까 하다가 만난 놈입니다.
젠투는 컴파일의 압박 때문에 좋아하지 않습니다. 프비에서 port 컴파일을 해 봤으니까요..
저도 최근에.. 여러 배포판을 시도해봤는데..(외산..)그 결과..
저도 최근에.. 여러 배포판을 시도해봤는데..(외산..)
그 결과.. 저에겐 국산 배포판이 맞다는 결론이 나오더군요.
우선 설치가 쉽고... 한글 별 설정없이 잘나오고..
쓰기도 쉽고 편하고..
그래서 다시 kore로 돌아갈 생각입니다.
데뱐은 kde조차 깔지 못하겠더군요..
국산 배포판을 사랑합시다~!!
newbie :$
...
젠투 잘 쓰신 분이라면, 데비안은 껍씹듯 쓰실수 있으실것 같은데 ^^;
데비안 정말 좋습니다. 생각보다 설정 복잡하지 않고요.
No Pain, No Gain.
다 좋은데 안전판에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을 깔기가 조 상그럽워서...
다 좋은데 안전판에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을 깔기가 조 상그럽워서...
--------------
Burning Blue!
--------------
Re: ...
:) 저도 데비안이 좋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고 또 써보려고 많이 시도도 해봤죠.
문제는 처음 설치시에 상당히 애매모호하다는 것입니다.
음... LINUX초기의 배포판들도 레드헷도 수세나 페도라도 어느정도 직관적으로 설치가
가능했죠.
하다못해 Gentoo는 직관적이다못해 설치시에 원하는것을 빼고 넣고를 할 수가 있었습니다.
데비안... 처음 설치하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자신은 어떻게 설치를 했다는 식의 문서도 찾기 어렵고 나와있는 설치문서는 초기문서만있고
기본 설치가 끝나면 dselect나 apt-get을 이용하라고 조언하시는 글은 많지만 정확하게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는 알아서 찾아봐야하고...
결국 관리자를 편리하게 해준다는 Debian은 초기 설치만 열댓번해보고는 포기상태죠.
그래서 Gentoo를 사용하고 있지만... :)
------------------------------
좋은 하루 되세요.
Re: ...
레댓부터 슬랙웨어, 맨드레이크, 수세, 젠투, bsd계열까지 여러 오에스를 써봤습니다만..(한때 오에스 깔기 병이 걸려서리..최근의 맥오에스까지..ㅋ)
솔직히 데비안은 머가 먼지 하나도 모르겠더라는..
솔직히 젠투가 제일 쉬운거 같고..
(물론 설치 제외..어렵다기 보다 귀찮지요)
설정도 모르겠고..여러 오에스를 써봤지만
데비안은 솔라리스와 함께 절대 이해 안가는 오에스라는 ㅡ,.ㅡ
그냥 익숙한거 쓰는 게 좋은듯.ㅋㅋ
힘없는자의 슬픔
데뱐은 뭐할 때 무슨 패키지가 필요한지만 알면 너무 편리합니다. 그렇다고
데뱐은 뭐할 때 무슨 패키지가 필요한지만 알면 너무 편리합니다. 그렇다고 저도 속속들이 데비안을 잘 아는 건 아니지만 설치는 사지 설치 CD로 그놈 2.8까지 반나절만 투자하면 쉽게 되더군요... apt한번으로 그놈 올리고 apt한방에 홈레코딩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는게 데비안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지금은 회사 노트북에서 데비안을 쓰고 호기심이 생겨 처음으로 젠투 설치하는 중입니다. 그놈 emerge 중에 X에 twm만 올려놓고 인터넷 하려니 뭔가 허전하네요;
그런데 가면 갈 수록 데비안하고 페도라의 차이가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
----------------------------
[서명] 그놈 한국 사용자 모임 - 그놈에 대한 모든 것! - 게시판, IRC, 위키, 갤러리 등등...
레뎃7.3을 너무 오래 쓴 것 같습니다.7.3을 기본 설치를 해서
레뎃7.3을 너무 오래 쓴 것 같습니다.
7.3을 기본 설치를 해서,
필요한 것들은 다 소스 받아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도 rhn이 지원이 끊긴 다음부터는
yum보다는 rpm -ql로 파일 위치 알아내서,
prefix bindir등을 잡어서 같은 위치에 설치해서
사용해 왔습니다.
(이 상태로 tar로 묶어서
새로 설치할 때는 이 tar를 새 시스템에
덮어 쒸우는 것으로 설치작업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그놈,KDE보다는 윈도우 메이커가 친숙하고,
xterm, gnome-terminal 보다는 hanterm이면 충분하고...
대부분의 설정은 콘솔에서 해결해왔기 때문에..
system-config-* 명령보다는
vi /etc....가 더 편합니다.
최근 커널 2.6등장과 여기에 올라오는 KDE, 그놈 스샷들을 보면서...
바이너리 배포조차 더 이상 지원안해주는
7.3에서 더 이상 안주해서는 안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처음에는 gentoo, 데비안 한두차례 설치해보고는
fedora core 2로 넘어 왔습니다.
레뎃 7,3에서 fedora core2로 바로 넘어온 셈이죠...
fedora core 2가 물건이라는 것은 공감하는데...
7.3 다루듯이 다룰 수가 없더군요...
다시 초보가 된 느낌이었습니다.
화려안 UI에도 불구하고, 쓰는 기능도 거의 없고...
(자동세척기를 신뢰못하는 어머니의 심정처럼,
GUI에서 잡힌 설정들에서 왠지 찝찝한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모질라와 mplayer를 제외하고는 vi와 ncurse면 여전히 만족스럽고...
7.3이면 쉽게 되는데, fedora에서 삽질하고 있는 제자신을 보면
지금도 여전히 7.3에 미련을 못 버리겠습니다.
(fedora core 2 오른쪽에 밖혀 있는 빨간 색의 rhn 업데이트 패널도
여전히 못 지우고 있습니다. --;;;)
리눅스에서는 서버 세팅이 주 업무인 저로서...
특히 오라클이라는 골치덩어리를 상대하기에
새로운 배포본으로의 이전 시점이 상당히 고민됩니다.
결국 확실히 안정된 배포본이라는 인상을 받기 전에는
한동한 7.3을 더 사용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윗분과 고민은 다른지만.. 충분히 심정이 이해가 됩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Re: ...
오늘 시도해봤습니다...
위에 우분투 추천해주신 분이 계셔서 그것도 해봤지만...
별다른게 없는 거 같아서 그냥 데비안 쓸까 해서 시도했습니다..
그런데 설치과정은 할만 하더라구요...
dselect는 좀 익숙하지 않지만 패도라에서 전부터 사용해오던
apt-get을 이용하니까 패키지는 쉽게 설치되는 것도 같습니다.
그런데,, 우디 깔았는데요...
커널은 2.2.x이고 x윈도 시스템도 옛날께 아닌가 싶네요..
모두 웹에서 받아다 깔았는데... CD는 부팅 가능하게만 만들고...
만들다기보단 그런거 구해서 구웠습니다...
X윈도가 옛날꺼라고 생각하게 된 이유는,...
제가 메인보드가 온보드라 그래픽 칩셋이 메인보드에 붙어있는데..
nforce껍니다.. a7n ... 이니까요..
붙어 있는데 이걸 못찼습니다.
로그 보니까 fedora의 것은 알아서 잘 찾던데
데비안 우디의 것 못찾더라구요..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Re: ...
요즘에는 우디보다는 사지 설치 프로그램 부터 시작하는게 편하더군요.
어쨌든 실제 사용하시려고 하는 버전이 우디가 아니라면 최소한의 부팅 및 네트워크만 가능한 상태가 되면 sarge, sid, experimental 등으로 올리고 apt-get dist-upgrade하시면 됩니다.
얼마전 설치했던 노트북은 사지로 부팅 하자마자 2.6 최신 커널부터 apt-get으로 올리고 부팅 되자마자 experimental로 바꿔서 apt-get install gnome ... 을 했습니다.
어쨌든 결론적으로 데비안 설치하실 때는 설치 CD에 있는 버전에 굳이 많은 시간을 투자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서명] 그놈 한국 사용자 모임 - 그놈에 대한 모든 것! - 게시판, IRC, 위키, 갤러리 등등...
Re: ...
죄송합니다만, 저도 데비안 쓰는데요..
experimental 로 바꾼다는 말이 무슨말인가요?
전 사지 testing 버전을 사용하는데요 전에 kde 를 최신버전으로 apt-get 으로 올릴려니 안되더군요;;
/etc/apt/source.list
파일에 testing 을 unstable 로 바꾸고
apt-get update
하고 kde 를 업그레이드 하면 되는건가요?
아--;; 그러니까 제가 궁금한건 experimental 로 바꾼다는게 어떤건가해서요;;
그리고 testing 은 쓸만한데 unstable 도 그냥 서버로 말고 데탑으로 사용하기엔 쓸만 한가요?
-----------------------------------
속좀 썩이지 마라~~ 잉???
Re: ...
/etc/apt/sources.list 에 experimental 리포지트리를 추가하고
apt-get -t experimental install 패키지
하는 것 뿐입니다.
서버로도 데스크탑으로도 unstable 은 쓸만합니다. :- ) 서버라면 자질구레한 X 등이 없으니 에러날 일이 없고, 데스크탑이라면 최신 패키지를 쓸 수 있으니 자잘한 에러는 무시할 만 하겠지요.
(에러가 잦다는 이야기는 아니옵니다. 결코!)
-------------------------------
== warning 대부분 틀린 얘기입니다 warning ===
Re: ...
현재 데비안에서 gnome2.8을 쓰려면, experimental 소스트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저도 쓰고 싶은데... 걍 sid에서 2.8쓸수 있을때까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experimental 소스트리에 대한 것은 experimental 을 키워드로 kldp에서 검색해보시면, 최근에 그놈 저널이란 곳에 관련기사가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No Pain, No Gain.
Re: ...
확실히 데비안은 페도라나 젠투에 비하면 설치 CD가 구리구리 합니다. ^^ 뭘 깔아야 할지 모르는 초보 사용자들에게는 확실히 어렵게 느껴질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데비안의 참맛은 설치CD가 아니고, 일단 깔고 나서부터가 아닐까 하네요. 요새 페도라 사용자들이 즐거워하는 편리한 패키지 업데이트 시스템의 원조죠.
No Pain, No Gain.
Re: ...